서울시, G밸리 재창조한다...산업단지계획 수립

Photo Image
G밸리의 모습.(사진=전자신문DB)

서울시가 G밸리(서울디지털산업단지) 192만2000㎡에 대한 산업단지계획(변경)을 수립했다고 27일 밝혔다. G밸리 전역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공공관리를 본격화한다.

이번 계획은 G밸리 최초 국가산업단지계획으로, 법정관리계획이다. 개발계획 변경(용지계획 변경)과 실시계획(지구단위계획 포함)을 모두 아우른다.

30년 이상 된 역세권 민간 공장부지와 저이용 공공부지 등 13개 전략거점을 선정, 개발 시 산업시설(공장 등)뿐 아니라 상업, 주거시설 등을 복합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 기부채납을 통해 G밸리에 부족한 산업 교류공간과 기업·종사자 지원시설을 신설하고, 녹지, 도로, 보행로 같은 기반시설을 확충해 산업단지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G밸리에 밀집한 IT제조업, 소프트웨어(SW) 개발·공급업을 중심으로 4차산업, 물류·유통, 문화, 지식산업 같은 다양한 산업이 융복합될 수 있도록 업종제한도 최소화한다.

전략거점 개발 시 공공부지는 연면적 30% 이상을 R&D센터, 창업지원시설 등의 '산업교류 혁신지원 공간'으로 의무 도입한다. 민간부지는 용지변경에 대한 개발이익 환수(지가차액 50% 기부채납)를 통해 산업혁신 지원공간을 확충하는 방식으로 부족한 지원시설 인프라를 개선한다.

서울시는 이렇게 확보되는 '산업교류 혁신 지원공간'에 중앙부처의 산업지원사업을 유치하거나 시 자체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G밸리 내부 혼잡을 낮추기 위해 현재 3~4차선을 5~7차선으로 용량을 확대하고 경부선으로 단절된 2, 3단지 원활한 소통을 위해 두산길 지하차도 사업을 추진한다. 자전거 전용도로 설치, 보행자 우선가로 조성 등 보행친화적인 도로환경 개선도 이뤄진다.

김의승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그간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실시계획(지구단위계획) 없이 자치구별로 건축허가가 이뤄지던 방식을 개선해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실시계획을 수립해 법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공간관리와 공공성을 확보했다”면서 “G밸리를 스마트 혁신 도심 산업단지로 재창조 하는데 공공의 지원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