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4/1406788_20210426173142_939_0004.jpg)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4/1406788_20210426173142_939_0005.jpg)
“한국에너지공과대학(한전공대)은 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거점에서 출발한 것입니다. 대학이나 에너지 정책 등 파편화가 아닌 에너지 대전환 패러다임에 맞춘 창업형 인재 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봐야 합니다.”
'지방에도 희망이 있는 나라'를 만드는 것을 평생 소명으로 삼아온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58·나주화순). 신 의원은 한전공대는 지방에 들어서는 하나의 과학기술(에너지) 특성화 대학이 아니라 국가 대형연구소와 기업의 연구개발(R&D) 시설이 들어서고 대학 우수 인력과 함께 심화 연구가 이뤄지며 이를 통한 창업 연계가 되는 모델이어야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해서 대기업 등 민간기업도 '에너지 특화기업'으로 지정받아 한전공대 에너지밸리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법 개정안'도 대표 발의해 상임위 논의를 앞두고 있다.
신 의원은 “대형 국가기관의 이전과 유수 대학을 설립하는 것은 해당 지역에 새로운 산업을 일으키기 위한 목적이어서 대학 따로, 기관 따로, 민간기업 따로 갈 수는 없지 않느냐”면서 “산업 생태계를 만들고 에너지 밸리를 조성하기 위해 어떤 것이 필요한지, 에너지 신산업 거점이라는 맥락에서 국가는 어떤 일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종합적인 마스터 플랜을 산업부와 함께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누구도 한전공대 설립을 위한 특별법 통과를 자신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특유의 뚝심과 돌파력을 발휘한 신 의원을 최근 국회 의원회관에서 만났다. 한전공대를 통해 펼치고 싶은 국가 에너지산업 클러스터와 지역 균형발전 비전과 계획을 들어봤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4/1406788_20210426173142_939_0002.jpg)
<대담=서낙영 넥스트데일리 편집국장>
-미래에너지 신시장 선도를 위해 강력한 플랫폼 확보와 전문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한전공대 설립을 이 맥락에서 이해하면 되는 것인가.
▲한전공대 출발은 2005년 노무현 정부의 국가 균형발전 정책에서 시작한다. 국가 균형발전 정책은 지방을 살려서 수도권과 경쟁하고 세계적 도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경쟁력 있는 도시의 기본은 산업, 그것도 미래 산업도시라 생각했다. 산업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국가 공공기관만 가지고는 안 된다. 연관 산업과 산업 생태계 기반이 될 수 있는 연구기관이 함께 어우러져야 하고, 한전공대는 이처럼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미래 산업과 연구기관의 융·복합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다.
국가 균형발전 일환으로 봐야 하는 한전공대를 일반적인 대학정책이나 에너지 정책으로 따로 구분하는 관점은 옳지 않다. 대표 성공사례로 실리콘밸리가 있지 않은가. 현재 글로벌 에너지 전환 흐름에 따라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 중이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1조7000억달러(약 1900조원) 규모 그린뉴딜 투자계획을 발표했고, EU 집행위원회 역시 1조유로(약 1350조원) 규모 인프라 투자를 발표했다.
에너지산업을 우리 경제의 미래먹거리로 키울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된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에너지 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최대 5년까지 격차가 나는 상황이고 기업도 전문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빠르게 성장하는 에너지산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강력하고 집약적인 R&D, 인력 양성 거점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나주에 에너지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전문대학을 만든다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한 것이 아닌가 싶다.
-한전공대를 통한 우수 인재 양성 당위성 논란도 많았는데, 에너지 기업과 연구플랫폼이 하나로 묶여서 시너지를 내는 세계적인 사례가 있는가.
▲세계 최고 수준 공학대학으로 꼽히는 미국 칼텍은 교수당 학생 수가 불과 3명 수준으로 학생이 공부하면서 동시에 연구자가 되는 강력한 연구플랫폼을 만들었다. 세계적인 연구 성과는 환경에서 나온다. 그러나 기존 국내종합대학은 정원, 운영비가 이미 고정적인 부분이 많아 이런 수준의 플랫폼을 만들기 어렵다.
한전공대는 우리나라에도 칼텍 같은 학교를 만들어보자는 것이다. 기업과 연구플랫폼 시너지는 세계적으로 다수 사례가 존재한다. 스웨덴 조선업 몰락의 상징이었던 말뫼는 스웨덴 정부가 조선소 자리에 말뫼대학을 설립하고 첨단 기술과 산업을 인큐베이팅하는데 성공해 지역산업이 살아나면서 강력한 경제 성장과 일자리 효과를 거둔 바 있다.
-한전공대 설립과 발전을 위해서는 법적 토대인 특별법 통과가 필수였고, 우여곡절 끝에 3월 24일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었다. 이 과정에서 돌출된 논란과 이견 등도 많았는데.
▲한전공대는 국회 논의 과정에서 이해의 폭이 넓어진 것이 사실이다. 학력 인구가 감소하고, 지방대학은 미달이 나고 있는데 무슨 대학을 또 짓는 것인지라며 하나의 대학으로 생각하는 개념이 있었다. 그러나 한전공대가 에너지 대전환 시기에 새로운 에너지 신산업 부문의 국제 경쟁력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특별법 제정을 통해 한전공대는 한구과학기술원(KAIST)처럼 개별법으로 육성되는 국가정책 차원의 혁신 거점으로 거듭났다.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만큼 이를 계기로 한전공대를 성공적으로 육성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 지자체와 산업부와 소통하며 부지 문제를 포함해 그간 제기되었던 지적들을 잘 관리할 것이다. 이보다 생각보다 깊게 박힌 불신을 해소하는 것이 어려운 과제다. 이것을 잘 풀어나가는 데 힘을 쏟겠다.
-지난해 말 캠퍼스 진입도로 착공 등 기반시설 조성이 시작됐다. 캠퍼스 종합계획의 진척 상황과 오는 5월 한전공대 신입생 준비는.
▲시기에 따라 3단계로 나누어서 2025년까지 총 15만3000㎡ 규모 교사를 모두 완공하는 것이 현재 계획이다. 이를 위한 시설 조성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고, 행정·강의동 등 필수시설을 다음 달부터 착공해서 내년 중으로 일부를 준공하고, 부분 사용을 승인받을 것이다. 특별법 핵심 내용은 세계적인 대학이 되기 위해 교수진과 학생 선발에 대한 자율권을 중시하는 것이다. 형식화된 정량제 평가가 아닌 인재 특성과 장점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선발 기준과 절차를 가져야 한다. 우수한 학교의 학생 선발 과정은 반드시 공정성이 담보돼야 한다. 공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학생 선발이 이뤄지고, 학생과 학부모가 신뢰할 수 있는 선발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한전공대는 인재 유치 계획이 있다고 들었다. 외국 우수학생 선발도 계획하고 있는지.
▲이 부분 역시 우수인재 선발과 맞물려 있고, 한전 측과 교육부 간 이견이 있는 부분과 맞닿아 있다. 한전은 최대한 수시 비중을 높여야 최우수 인력 경쟁에서 유리하다는 입장이고, 교육부는 정시를 통해 인재 선발 균형을 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놓고 산업부와 교육부가 이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들었다. 글로벌 인재 유치는 국내 학생 선발 외에 별도로 선발하는 것으로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측면에서도 이해할 수 있다. 그 비중이 크지는 않을 것이다. 지역인재 선발 전형은 아예 없다. 혹시 모를 잡음을 없앤 것으로 알고 있다.
-한전공대는 국가에너지 생태계 측면과 함께 국가균형발전 핵심 거점 역할이라는 의미도 크다. 신 의원이 생각하는 나주 혁신도시와 국가균형발전 청사진 속 한전공대는 무엇인가.
▲한전공대가 왜 만들어져야 하는지 대한 이유는 두세 마디로 정리가 된다. 핵심적으로는 세계적인 에너지 신기술 특화 대학을 통해 생태계를 만들어 에너지 신산업을 선도하는 메카를 만드는 것이다. 한전공대를 시작으로 방사능 가속기나 초강력 레이저 센터 등 대형 국가연구기관 시설을 유치하고 클러스터 부지를 통해 혁신 창업과 신기술 창업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갈 것이다.
두 번째는 대기업 등 민간기업을 통해 기술 기반 연구기관 시설들을 활용한 다양한 산업군이 만들어지고 클러스터에 기업들이 입주해 강력한 R&D 기반을 만들어 창업과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다. 한전공대는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전남 에너지밸리 핵심축이다. 유수 에너지기업과 시너지 효과를 내며 지역 혁신성장을 이끌게 될 것이다.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전남의 신성장산업 기반이 완성되면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목표에 한층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 본다.
-한전공대를 축으로 한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 등 다각적 접근도 필요해 보이는데. 유수 대기업의 투자 유치 등 진척되고 있는 것이 있는가.
▲대기업 등 민간기업이 에너지 특화기업으로서 한전공대나 여러 가지 연구기관과 연계해 기술 및 상품 개발을 할 수 있도록 관련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법 개정안'이 그것이다. 법은 에너지 특화기업을 지정해 여러 가지 우대를 줘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것인데 대기업은 대상에서 제외돼 있었다. 이를 통해 광주 전남 에너지밸리 조성에 속도를 낼 것인데 산업부를 비롯해 관련 전문가 풀과 논의하고 있다. 종합적 마스터 플랜을 짤 계획이다. 내년 예산으로 준비하고 있는데 골자는 에너지 신산업 거점을 키우기 위해 국가가 어떤 일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맞춰 에너지 밸리를 조성하는 큰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4/1406788_20210426173142_939_0003.jpg)
-한전공대가 내년 3월 개교하면 2017년 문재인 대통령 대선공약으로 시작한 추진에서 설립까지 꼭 5년여 만에 결실이다. 그동안 좌초 위기도 많았을 텐데, 소회는.
▲기적 같은 일이다. 맨 처음 한전공대를 이야기했을 때부터 대선 공약으로 들어가고, 특별법 통과까지 매 순간이 어려운 과정이었다. 돌이켜 보면 그 어려운 고비 고비마다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려는 대통령의 의지와 학교 설립을 향한 광주·전남 지역민의 뜨거운 성원이 가장 큰 원동력이었다고 생각하며 감사하는 마음이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노무현 정부까지 길게 보면 15년이 걸렸다. 막바지 절묘한 틈새를 뚫고 법 통과는 됐지만 현재도 사회적 합의가 다 이뤄진 것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은 갖고 있다. 여전히 전문가 그룹은 의문을 갖고 있는 것 같다. 국민 여러분께 약속드린대로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과학기술 학교로 육성하기 위해 제가 가진 모든 역량과 에너지를 쏟겠다.
-끝으로 21대 국회에서 펼치고 싶은 의정 활동이 있다면.
▲지방 출신 정치인으로서 국가의 균형발전과 지방에도 희망이 있는 나라 만들기에 총력을 다할 것이다. 정의로운 나라, 나라다운 나라, 부동산으로 대비되는 부의 강탈과 양극화 등을 막아내는 데 힘을 보탤 것이다. 지역구로는 화순이 바이오 메디컬 산업으로, 나주가 에너지 신산업 메카로 자리를 잡으며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광주 전남이 장차 에너지와 바이오 생물의약 산업을 기반으로 커 나갈 수 있도록 돕겠다.
사진·정리=이호기자 dlghcap@nextdaily.co.kr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964년 전남도 나주에서 태어났다. 광주인성고를 졸업하고 고려대 신문방송학과 4학년이던 1985년 미문화원 점거 농성으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옥살이를 했다. 이후 1987년 출소 후 고향인 나주에서 농민운동에 투신했다. 2000년에 폐지된 일명 수세로 불린 농업용수 사용료 폐지운동의 일선에 서기도 했다. 1995년과 1998년 전남 도의원과 2002년과 2006년 무소속으로 나주시장에 당선되며 지역 정치가로서 튼튼한 기반을 다졌다.
여의도 정치에는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를 통해 첫발을 내디뎠다.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나주·화순 지역구에서 출마해 당선됐고, 20대 총선 낙선 이후 지난해 21대 4·15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나주·화순에서 재선의 기쁨을 누렸다. 나주시장 재임기에 혁신도시 유치를 이끌었고,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으로 한전공대 설립을 제안해 국정과제로 확정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4/1406788_20210426173142_939_0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