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2/1364196_20201210092513_258_0001.jpg)
올해 국가별 상위 100대 기업의 80%가 지속가능성 정보를 공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대비 5%포인트 오른 수치다.
KPMG는 세계 52개국 기업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보고를 분석한 보고서(KPMG Survey of Sustainability Reporting 2020)를 10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N100과 G250 그룹을 나눠 비교 분석했다.
N100은 한국을 포함한 미국, 영국, 일본, 중국, 인도 등 주요 52개국을 대상으로 각 국가별 매출 기준 상위 100개 기업을 뽑아 총 5200개 기업을 분석했다.
G250은 2019년 포춘이 선정한 500대 기업 중 매출 기준 상위 250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G250 기업은 대부분 N100에 포함된다.
올해 G250 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율은 96%다. 2011년 이후 매년 90% 이상 보고율을 기록했다. N100 기업은 2011년 64%에서 올해 80%로 16%포인트 올라 G250과의 격차가 점차 줄고 있다.
지역별로는 멕시코(100%), 미국(98%), 캐나다(90%) 등이 포함된 미주지역(평균 90%)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지속가능성 보고율을 보였다. 아시아태평양(평균 84%)은 2017년 조사 결과보다 6%포인트 증가해 미주지역 뒤를 이었다. 일본(100%)과 말레이시아(99%), 인도(98%), 대만(93%), 호주(92%) 등이 글로벌 리더에 속했다. 유럽의 경우 지속가능성 보고율이 평균 77%로 지난 조사결과와 동일했고 서유럽 보고율은 둔화했다.
보고서는 ESG 등 지속가능성 정보 인증이 기업의 표준 관행으로 자리잡았다고 분석했다. G250 경우 지속가능성 정보에 대한 독립적인 '제3자 인증(Assurance)'을 받은 기업은 71%였다. N100의 제3자 인증율은 KPMG가 지속가능성 보고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이래 처음으로 50%를 넘었다.
한편 기후변화 관련 국제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가 기후변화 위험을 반영할 수 있는 금융정보 공시를 위한 권고안을 2017년 제시했지만 아직 준수율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KPMG 조사 결과 올해 N100 기업 18%, G250 기업 37%가 TCFD 권고에 맞춰 기업 정보를 공개했다.
반면 탄소저감 목표를 공개한 기업 수는 크게 증가했다. N100 기업은 2017년 50%에서 올해 65%로 증가했다. G250 기업의 76%가 올해 탄소저감 목표를 설정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