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준병 의원, 직업교육훈련 참가자 60% 급감

2018년 634만 명서 2019년 257만 명 급감…원격 교육도 70%↓

Photo Image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고창)

근로자들의 직업능력을 향상시켜 생산성 향상과 고용 유지 및 고용안정을 지원하는 고용노동부의 직업교육훈련 중 하나인 사업주훈련 교육참여인원이 지난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고창)은 5일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직업교육참여 인원이 2018년 대비 60% 가량 감소했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의 ‘2018~2020년 6월까지 사업주훈련 교육 참여 현황’자료에 따르면, 2018년 17만4821개 기업에서 643만6000명이 교육에 참여했지만 지난해에는 14만9106개 기업에서 257만 3000명이 참여했다. 약 40%만이 교육에 참가한 것이다.

특히, 지난해 원격 교육 참여자는 153만5000명으로, 2018년 509만6000명의 30% 수준에 불과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집체교육은 급감했지만 원격교육의 증가세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방식의 원격교육 훈련이 직업교육 훈련의 수요를 흡수하지 못했고 근로자들이 단순히 교육을 포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윤 의원의 주장이다.

특히 규모가 영세한 우선지원 기업의 참여율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정적 일자리 지원에 우선 순위를 두다 보니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이유로 지목된다.

윤준병 의원은 “근로자들의 직업 능력과 생산성 향상, 고용유지와 안정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직업교육훈련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재정적 일자리 지원도 중요하지만 OECD가 권고한 대로 청년층, 중장년층, 고령층 및 우선지원기업에 대한 직업 훈련 지원도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 시대에 맞게 고용노동부의 직업교육훈련도 비대면 방식을 활성화시켜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OECD는 2020한국경제보고서에서 직접 일자리 창출에서 교육 및 직업상담 위주로 전환하고 일자리 질과 취업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장년과 청년층에 대한 직업훈련을 강화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전자신문인터넷 이상원기자 slle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