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오우무아무아의 상상도. 사진출처=한국천문연구원

성간 천체인 '1I/2017 UI'(Oumuamua·이하 오우무아무아)가 수소 얼음으로 이뤄져 있을 것이라는 기존 가설을 뒤집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천문연구원(원장 이형목)은 티엠 황 이론천문연구센터 박사와 아브라함 로브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연구센터 교수 공동 연구팀이 수소 얼음덩이가 거대분자운에서 형성되는 과정을 연구해 세운 새로운 가설을 국제 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17일자에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공동 연구팀이 제시한 가설은 오우무아무아가 수소 얼음덩어리라면 기화해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오우무아무아는 2017년 태양계에서 관측된 최초의 성간 천체다. 시가 모양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오우무아무아의 너무 빠른 이동 속도 탓에 혜성, 소행성, 외계인의 우주선이라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지난 2018년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관측한 결과를 토대로 미국 시카고대와 예일대의 셀리그먼·러플린 연구팀은 최근 오우무아무아가 우주에 떠다니는 수소 얼음덩어리이며, 표면에서 분출되는 기체가 가속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연구팀은 수소 얼음이 있다면 우주에서 온도가 가장 낮은 '거대 분자운'(GMC) 중심부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가정했다.

이를 기반으로 천체물리학적인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 거대 분자운에서는 수소 얼음덩어리로 이뤄진 성간 천체가 생겨날 수 없고, 형성됐다고 하더라도 '성간 물질'로 이동해 태양계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기체 입자들과 충돌하거나 태양 빛을 받아 기화된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지구에서 1만 7000광년 떨어진 가장 가까운 거대 분자운 중 하나인 GMC W51에서 길이 200m의 수소 얼음덩어리가 태어난데도 성간물질을 통과하는 긴 여정 동안 열적 승화가 일어나 천만년 내에 사라지고, 이는 태양계까지 도달하기엔 너무 짧은 시간이라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아브라함 로브 교수는 “오우무아무아가 수소 얼음덩어리가 아니라는 것은 알아냈지만 이 성간 천체의 정체가 무엇인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규명하는 것은 여전히 천문학자들이 풀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충청=강우성기자 kws924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