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정부세종청사 전경

정치권을 시작으로 수도 이전 논의에 다시 불이 붙었다. 행정수도 이전 논의는 지난 2002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 후보가 유세 활동을 하면서 “수도권 집중 억제와 낙후된 지역경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와대와 정부 부처를 충청권으로 옮기겠다”는 공약에서 시작됐다. 이듬해 노무현 대통령 취임 후 신행정수도건설추진기획단이 발족했다. 그러나 2004년 10월 헌법재판소가 신행정수도의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에 위헌 결정을 내리면서 수도 이전 계획은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특별자치시) 건설안으로 변경됐다. “수도가 서울이라는 것은 불문헌법으로, 수도 이전은 헌법 개정 사안인데 국회가 이를 지키지 않았다”는 것이 판결 요지였다.

이후 정부세종청사 건설이 본격화되면서 2012년부터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등 중앙부처의 이전이 시작됐다.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가 이전하면서 대부분의 정부 중앙부처가 세종청사에 자리 잡았다.

2012년 초부터 세종시에 이전한 공무원들은 8년 전을 떠올리며 지금을 '상전벽해'라고 말한다. 당시에 주변은 온통 공사장이고, 일과가 끝나기 무섭게 집으로 돌아갈 통근버스를 타는 것이 큰일이었다고 했다. 자칫 버스라도 놓치면 청사에서 꼬박 밤을 지새워야 할 판이었다. 주변에는 대중교통도 없고 거주할 주택도 마땅치 않았기 때문이다.

요즘은 곳곳에 고층 아파트와 상가가 빽빽이 들어섰고, 출퇴근 시간이면 도로는 주차장화한다. 최근 다른 기관도 이전해야 한다는 논의가 일기도 했지만 이미 세종시는 만원 상태로 보인다.


수도 이전 논의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모르겠지만 정부세종청사 이전 때 겪은 불편과 사회 갈등을 최소화하는 계획 및 충분한 사전 논의가 필요하다. 이전 초기의 세종청사 1세대가 겪은 지난날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