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민·관 컨트롤타워 가동
펀드 조성해 신규기업 진입 촉진
10년간 충전소 660기 확충하고
3기 신도시 중 2곳 수소도시 조성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수소경제 민·관 컨트롤타워를 가동하고 오는 2040년까지 수소 전문 기업 1000개사 육성에 나선다. 또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 660기를 확충하고, 3기 신도시 가운데 두 곳을 수소 도시로 추가 조성한다. 수소 산업진흥·유통·안전 전담 기관을 선정, 수소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했다.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수소' 활용도 추진한다.

정부는 1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정세균 총리 주재로 '제1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6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의결된 안건은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 방안 △수소경제 전담 기관 지정안 △수소경제위원회 운영세칙 제정안(이상 산업통상자원부) △수소 기술 개발 로드맵 이행 현황 및 향후 계획안(과학기술정보통신부) △수소차·수소충전소 추진 성과 및 향후 계획안(환경부) △수소도시 추진 현황 및 확산전략안(국토교통부)이다.

정부는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 방안에 따라 2030년까지 500개, 2040년까지 1000개 수소 전문기업을 육성한다. 수소모빌리티·연료전지·액화수소·수소충전소·수전해 등 5대 분야에 대해서는 '수소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340억원 규모 수소경제펀드로 신규 기업의 수소 시장 진입을 촉진한다.

경남·호남·중부·강원 등 4대 권역별로 중규모 생산기지를 설치하고, 2025년까지 소규모 생산기지 40곳을 구축한다. 수소클러스터·규제특구·수소도시를 연계한다.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수소'를 조기 활용하도록 제주도 풍력, 새만금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한다. 2030년까지 100메가와트(㎿)급 그린수소 양산 체제를 구축한다. 그린수소 인증제, 수소 의무사용제도(RPS) 도입도 추진한다.

정부는 지난해 수립한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 이행을 위해 범부처 역량을 집중한다. 각 부처가 시행하는 수소공급 인프라 구축사업을 연계, 범부처 사업으로 확대한다. 범부처 사업은 오는 8월 예비타당성조사에 들어간다. △국내 수소 생산·공급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 △해외 수소 공급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 △수소도시 인프라 기반 중장기 통합 실·검증 등 3대 분야를 집중 지원한다.

수소전기차 확산을 위한 인프라 확대도 추진한다. 2030년까지 수소차 85만대, 수소충전소 660기를 확충한다. 대형화물차 및 중장거리 버스 등 수소차 보급 차종을 확대하고, 군부대·공공부지 등을 활용해 수소충전소 보급 속도를 높인다.

이 외에 울산, 안산 등 수소 시범도시에 인프라를 확대·설치한다. 또 3기 신도시 5곳 가운데 2곳 안팎을 수소도시로 조성한다. 내년 2월에 시행되는 수소경제법에 따라 수소산업진흥은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수소유통은 '한국가스공사', 수소안전은 '한국가스안전공사'를 각각 전담기관으로 지정했다.

정 총리는 이날 위원회를 계기로 정의선 수소위원회 의장 등 11명의 수소경제위원회 민간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또 성윤모 산업부 장관,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 등과 함께 '수소모빌리티+쇼'를 참관했다.

정 총리는 “민간 주도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 모든 정책 지원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면서 “우리나라가 수소차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도록 수소 관련 연구개발(R&D) 투자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수소경제위는 정 총리를 위원장으로 산업부·기획재정부·환경부·국토부·중소벤처기업부 등 8개 관계 부처 장관과 산업계·학계·시민단체 등 분야별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지난 2월 제정된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수소경제 기본계획'을 시행·평가하는 수소경제 컨트롤타워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