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연합회는 자체 운영 중인 '코로나19 기업애로지원센터'의 조사를 통해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으로 해외공장이 가동 중단되면서 우리 자동차업계의 자금 유동성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고 전망했다.
현대차·기아차·한국지엠·르노삼성·쌍용차 등 완성차업체는 해외 현지공장(현대차·기아차)과 국내공장(한국지엠·르노삼성) 가동 중단으로 대규모 생산차질을 겪고 있으며 80~98%에 이르는 국내 공장 가동으로 버티는 상황이다.
일부 업체는 4월 이후 글로벌 부품조달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10일 이상의 국내공장 휴업과 함께 유동성 악화에 대비하여 임금 지불 유예나 삭감 등도 검토하고 있다 파악했다.
글로벌 완성업체들의 셧다운 등으로 부품업체들의 경우 3월 매출 감소가 이미 20~30%에 이른다면서 4월부터는 매출 감소폭이 훨씬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공급망의 차질로 생산비용도 급증하고 있는데 특히 해외 공장을 운영 중인 업체들의 경우 해외와 국내공장 간 신속한 부품 수급을 위한 항공 운송비 추가 발생 등으로 4월 2주차 이후엔 유동성 문제가 심각하게 부각될 것으로 전망했다.
업체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심화되는 유동성 위기에 대응해 운영비·출장비 등 비용 발생을 최대한 줄여갈 계획이나 정부차원의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마스크, 손소독제, 열감지기 등 방역시스템은 1차 조사(3월 18일)때 보다 잘 가동되고 있어 확진자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고 있으나 유선전화, 화상회의 등을 통한 대응에도 불구하고 해외출장 어려움으로 인한 비즈니스 애로는 지속되고 있다.
자동차업계는 이러한 애로 타개와 생존을 위해 정부의 유동성 지원 확대, 노동비용과 고용유지 지원, 글로벌 수요급감 보완을 위한 내수진작 활성화 등을 건의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장은 “국내는 코로나19에 대한 효과적 대응으로 국내요인으로 인한 공장 셧다운은 없으나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으로 글로벌 생산차질과 수요위축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며 “특히 중소협력업체들의 줄도산이 우려되는 만큼 공공기관 구매력을 집중 실현하는 등 향후 글로벌 수요 급감을 내수에서 대체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한다”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