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동킥보드 등 퍼스널모빌리티(PM)가 보행자·자동차와 분리돼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새로운 도로 설계지침을 마련한다. 기존 도보·차도와 구분되는 PM용 도로명칭도 따로 정한다.
정부는 다양한 이동수단이 나타나는 것에 맞춰 사고가 잦은 스쿨존이나 주거지역에서는 차량 제한속도를 15㎞/h로 낮추는 시범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사람중심도로 설계지침' 제정 연구용역을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국토부는 자전거와 PM이 함께 다닐 수 있는 도로를 구상 중이다. PM은 전동킥보드, 전동외륜보드, 전동이륜보드, 전동이륜평행차 등을 지칭하는 교통수단이다.
최근 PM 이용률이 지속 증가하고 있지만 명확한 통행 기준이 없었다. 빠른 속도로 보도에서 달리거나 반대로 차도에서 저속으로 운행하는 것 모두 위험하다는 지적이다. 업계는 25㎞/h 제한을 두고 자전거도로를 함께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요청했다.
국토부는 도보·차도와 구분돼 자전거와 PM이 함께 달리는 새로운 도로를 정의하고 PM의 제원·성능, 이용자 통행특성 등을 분석해 세부 설계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자전거와 PM이 함께 달리는 도로 명칭도 다음 달 5일까지 공모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03/1284840_20200323141713_293_0001.jpg)
국토부는 주거지와 어린이보호구간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차량속도를 15㎞/h로 제한하는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보행자가 우선인 도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운전자가 자연스럽게 15km/h 이하로 저감할 수 있는 도로설계 기법을 이곳에 새롭게 도입한다. 보행자 사고가 많았던 지역을 찾아 시범사업을 우선 진행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03/1284840_20200323141713_293_0002.jpg)
교통약자가 도로에서 휠체어를 원활하게 이용하도록 세부기준도 마련한다. 교통섬 내 대기공간과 보도 내 차량 진출입 경사가 제각각이어서 휠체어가 다니기 불편한 곳이 많았다.
김용석 국토부 도로국장은 “사람중심도로 설계지침이 제정되면 다양한 도로 이용자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이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사람우선 도로문화를 정착·확산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