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정부와 화웨이 간 갈등은 200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3년 미국 기업 시스코는 화웨이가 라우터·스위치코드를 불법 복제했다며 지식재산권 침해 혐의로 고소했다.

이는 미국에서 반(反) 화웨이 정서가 자리잡게 된 계기가 됐다.

2008년 화웨이가 미국 컴퓨터 장비 제조업체 쓰리컴 인수에 뛰어들자 미국 정부는 기술 유출 가능성 조사 카드로 무력화했다. 화웨이는 2년 뒤, 미국 주요 통신사 스프린트 넥스텔 설비 납품 입찰에 참여했지만 또 다시 고배를 들었다.

2012년 미국 정부는 화웨이에 대한 전면 압박에 들어간다. 하원 정보위원회가 '중국 화웨이와 ZTE가 제기하는 미국 국가안보 문제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화웨이가 중국 정부와 공산당 지령을 받아 기밀을 훔치고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미국 적성국과 수상한 거래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화웨이가 기업구조와 의사결정 과정에 대해 완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국가 지원을 받기 위해 중국 정부에 계속 의존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근거로 중국 정부가 화웨이를 통해 미국에 적대적 행위를 할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제기했다. 미국 공공기관도 의회 우려·권고를 받아들여 화웨이 장비 구매를 중단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압박 수위는 최고조에 달했다.

AT&T와 버라이즌 등 이동통신사가 화웨이 스마트폰을 출시하지 않기로 했고 연방통신위원회(FCC)도 미국 통신사가 화웨이 장비 구입에 연방정부 보조금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국방부는 군사기밀 보호를 위해 군 복무자 전원이 화웨이 휴대폰을 사지 못하도록 금지령을 내렸다. 이와 함께 미 정부는 영국 등 기밀 정보 공유 동맹체인 '파이브아이즈' 국가에 화웨이 장비를 배제하라고 공식 권고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