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담배 유해성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전문가들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유해성 분석에 착수, 이달 말 1차 결과를 공개할 방침이다.
전자담배업계에서는 식약처 분석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에서 발생한 중증 폐질환 발병 사태로 말미암아 보건복지부가 사용 중단을 강력 권고한 이후 시장이 급속도로 얼어붙고 있기 때문이다.
식약처 결과 발표에 따라 업계는 상황이 더욱 나빠지는 사태를 맞거나 잘못된 정보에 따른 의혹에서 벗어나 전환기를 겪을 수도 있다.
정부가 밝힐 입장은 식약처의 분석 결과가 매우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과거 식약처는 궐련형 전자담배 유해성 분석 결과를 공개하며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연소 과정을 거치지 않아 타르가 발생할 수 없는 궐련형 전자담배임에도 니코틴을 제외한 모든 발생 물질을 타르로 규정, '일반 궐련형 담배보다 타르가 더 발생한다'는 식으로 호도한 바 있다.
이번 액상형 전자담배 분석에도 유사한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액상형 전자담배를 일반 궐련형 담배와 비교해 유해성이 낮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분을 강조, 액상형 전자담배도 유해하다는 식으로 여론몰이를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액상형 전자담배의 위험 물질로 꼽히는 디아세틸과 2,3-펜탄디온의 경우 기도 섬모에 악영향을 미쳐서 폐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일반 궐련형 담배에도 포함돼 있다. 오히려 성분 함량이 약 200분의 1 수준으로 미미한 편이다.
세계에서는 전자담배 유해성을 둘러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일반 궐련형 담배에 비해 유해성이 덜하다는 결과도 이미 많이 공개됐다.
금연이 최선인 것은 틀림없다. 그렇다고 정부가 데이터를 자의적으로 해석해서 특정 제품이 특히 문제가 많다는 식으로 발표하는 것은 올바른 접근이 아니다.
식약처는 과학에 기반을 둔 정확한 데이터를 공개해야 또 다른 논란을 피할 수 있다.
이주현기자 jhjh13@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