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드래곤플라이와 KT가 말레이시아에 수출한 VR콘텐츠. 사진=드래곤플라이

문체부와 과기정통부가 17일 발표한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 핵심은 1조원 이상 정책금융 확대다. 2022년까지 4500억원 규모 콘텐츠 모험투자펀드와 7400억원 규모 콘텐츠 기업보증을 지원한다.

콘텐츠 분야 중소사업자와 스타트업 활성화에 정부가 공격적으로 자금을 집행해 산업을 키우겠다는 의지다.

정부에 따르면 2019년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위원회,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은 콘텐츠 분야에 연간 1조7000억원 규모 정책금융을 운용 중이다.

초기 단계 프로젝트나 시장이 작은 소외분야는 이 자금을 받기 어려웠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내년부터는 이러한 사각지대가 줄어든다.

모험투자펀드는 초기단계와 취약분야를 집중 지원한다. 기획단계에 있는 프로젝트를 아이디어 단계에서 검증한다. 애니메이션, 출판, 음원 등 취약장르에 소액투자 전문 펀드를 운영한다. 정부출자비중을 높여 운영사에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장르별로 분산된 투자유치 설명회도 통합한다. 투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연계 지원사업을 신설한다. 투자설명 참여기업은 40개에서 100개로 늘린다.

기존 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은 실험·예술작품 시장 미형성 분야로 집중한다. 기업 지원은 생애주기 지원이나 일자리 지원 등 간접 형태로 전환한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19년 예산 3400억원 중 간접지원에 62%를 썼다. 이 비중을 앞으로 75%까지 높인다.

콘텐츠 기업보증은 확대 개편한다. 2022년까지 7400억원을 추가 공급한다.

금융위와 신용보증기금의 콘텐츠기업 특화보증을 2022년까지 1000억원을 늘린다. 콘텐츠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사업화 자금 지원을 확대한다.

일반보증은 2022년까지 4200억원을 추가 공급한다. 같은 기간 콘텐츠·문화상품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완성보증 역시 2200억원을 더 투입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 같은 계획으로 올해 125조원으로 예상되는 국내 콘텐츠 산업 규모가 2022년 153조원 규모로 22.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액은 103억달러에서 134억달러로 29.5%, 고용은 66만명에서 70만명으로 5.7% 포인트 성장한다고 내다봤다.

매출액 100억원 이상 기업은 올해 1700여개에서 2022년 2000개로, 실감 콘텐츠 매출액은 2조8000억원에서 11조7000억원으로 크게 성장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표> 콘텐츠 3대 혁신전략으로 인한 2022년 기대효과


<자료:문화체육관광부>

[해설] 중소 콘텐츠 기업 및 스타트업, 1조원 이상 콘텐츠 정책금융 수혜볼 듯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