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김기선)이 몸속 지질의 양을 분석해 질병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GIST는 김태영 지구·환경공학부 교수팀이 대사적 중수 표지법을 활용해 정상인과 환자의 시료에 존재하는 지질의 상대 비율을 분자 수준에서 고효율로 측정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지질은 물에는 녹지 않고 유기용매에 녹는 생체 구성물질이다. 암을 비롯해 제2형 당뇨병, 류머티즘 관절염, 알츠하이머 병 등 다양한 대사 및 면역질환과 깊은 관련이 있다. 생체 내 지질 양 측정 기술은 질병 원인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김 교수팀은 중수 표지법을 이용해 동위원소 분포를 측정하고 지질의 상대 정량비를 구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법과 대용량의 질량분석 데이터를 자동화해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연구팀이 대표적인 모델 암세포인 헬라 세포를 중수로 표지시킨 뒤 정량 정확도와 및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비율로 혼합해 분석한 결과, 지방산·글리세롤지질·인지질·스핑고지질 등 총 100여개 지질이 100배 차이 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기존 동위원소 기반 상대 정량법이 특정 생분자만을 측정하는 것과 달리 중수 표지법은 지질뿐만 아니라 단백질, 당, 핵산, 대사체 등 여러 생분자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저산소증으로 유발되는 트라이아실글리세롤의 농축 현상도 확인했다.
김태영 교수는 “생체 내 지질 양을 정확히 측정하고 분석하는 기술은 질병으로 발생하는 생체 변화를 시스템적으로 연구하고 향후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