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49만명을 기록하고, 젊은 층 유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906/1199939_20190627123624_653_0001.jpg)
2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49만330명을 기록했다.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2017년 51만6817명보다 소폭 줄어들었다.
농식품부는 2017년 많이 증가한 현상의 기저효과, 신중한 준비 경향, 특·광역시 인구 감소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연령별로 보면 40세 미만이 23.7%로 가장 많아 젊은 층이 귀농·귀촌을 주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50대는 17.2%, 60대 이상은 17.2%로 각각 집계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40세 미만 젊은 층의 귀농이 전년보다 2.3% 증가해 2013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인 1356가구가 귀농한 것으로 조사됐다”라며 “이는 지난해 새로 도입한 청년 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 등 청년농 육성 정책이 성과를 나타낸 것”이라고 말했다.
귀농·귀촌을 택하는 주된 이유로는 '직업'이 33.3%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주거' 28.4%, '가족생활' 24.4% 등 순이었다. 직업으로 농업을 택한 귀농인 가운데 농업에만 전업하는 경우는 70.8%였다. 농업 외 다른 직업 활동을 함께 하는 겸업 귀농인은 29.2%였는데, 연령층이 젊을수록 겸업 비율이 높았다.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는 34만304가구로, 이 가운데 귀농 가구는 1만1961가구였다. 특히 1인 가구 비중이 2017년 69.3%에서 지난해 71.8%로 높아졌다.
농식품부는 “1인 가구 증가는 미혼 비율이 높은 40세 미만 연령층의 귀농이 확대됐기 때문”이라며 “가구주가 기반 마련을 위해 먼저 이주 후 가족 구성원과 합류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유형, 이유, 소득, 주거형태, 경영여건 등을 조사하는 '귀농귀촌실태조사'를 조기에 실시해 정책보완 방안 마련에 활용한다.
함봉균 정책(세종) 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