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경민 코드브릭 대표는 실패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은 기업가다.
방 대표는 과거 온라인 게임사 제이투엠(J2M)을 창업하고 EA에 성공적으로 매각했다. 그러나 성공한 벤처사업가라 해도 새로운 창업에 도전했을 때 반드시 성공한다는 법은 없다. 창업은 언제나 어려운 일이고, 낯선 땅에서 창업했을 때 실패 확률은 더 크기 마련이다.
방 대표는 2016년 태국과 인도네시아에서 두 번째 창업을 시도했다. 방 대표는 당시 태국과 인도네시아 현지 지인에게 자본과 네트워크는 있지만 기술이 부족하다며 공동 사업을 제안 받았다고 말했다. 코드브릭은 '컴퍼니빌더'를 목표로 태국에서는 자동차 판매를 위한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인도네시아에선 배달솔루션을 각각 개발했다.
사업은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았다. 현지 파트너는 서비스가 순조롭지 않자 일찌감치 사업을 접겠다는 의사를 전해 왔다. 공동 창업에 나선 지인은 당시 사업이 실패했다고 판단했다. 그때 본 것이 인터넷 쇼핑 시장의 성장이다.
인도네시아 인터넷 쇼핑 시장의 절반은 한국과 같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가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 절반은 정확한 집계조차 어려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플랫폼 시장이다.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등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이른바 '인플루언서'들이 쇼핑몰 솔루션 없이 주로 모바일 메신저로 거래하는 것을 봤다.
방 대표는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자”며 공동 창업자를 설득한 뒤 개발하고 있던 챗봇 서비스를 모바일 쇼핑몰 구축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데 매달렸다.
한국에서 기획과 개발을 진행했고, 마케팅 및 고객관리(CS) 등은 현지에서 해결했다. 마케팅과 CS 직원은 대부분 현지 인력으로 뽑았다. 방 대표는 1년에 절반 이상을 현지에 살다시피 했다.
그 결과 지난해 3월 '토코톡'을 내놓았다. 글로벌 쇼핑몰 서비스 '쇼피파이'나 한국 업체 '카페24'와 비슷한 쇼핑몰 솔루션이다.
서비스 출시 1년여 만에 판매자(셀러) 숫자는 15만명, 월 거래액은 20억원을 웃돈다. 이러한 성과로 알토스벤처스로부터 31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현재 코드브릭 사무실에 가면 커다란 스마트TV를 통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사무실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현지와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회의를 실시간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방 대표는 새롭게 성장하는 동남아시아 모바일 시장에 기대를 걸었다.
방 대표는 “동남아시아에선 PC가 아니라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 많다”면서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이 인터넷 그 자체라고 여긴다”고 전했다. 방 대표는 모바일 쇼핑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1년 안에 월 거래액 150억원 달성이 목표라고 밝혔다.
청사진은 밝았지만 현실 판단은 냉정했다. 지난 시간은 해외 시장 진출이 쉽지 않은 길임을 뼈저리게 가르쳐 줬다.
방 대표는 “외국인이 현지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아직 없는 사업 모델로 도전하는 것”이라면서 “선제 투자를 할 수 있는 시간도 이젠 3~4년 정도밖에 없다”고 각오를 다졌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