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양자정보과학 기술 구현에 필수인 양자얽힘 광원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문한섭 부산대 교수팀이 원자 매질을 이용해 안정성과 품질이 높은 양자얽힘 광원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양자정보과학은 양자통신, 양자컴퓨팅, 양자계측 등을 포함하는 연구 분야다. 각 영역은 모두 양자얽힘 현상을 이용하는데, 양자얽힘은 두 양자계가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상호 상관관계를 갖는 특별한 현상이다. 고품질 양자얽힘 광원을 만들어야 양자정보과학 구현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순수한 원자 증기 매질을 담은 '원자 증기 셀'에서 생성되는 광자 특성을 제어해 고효율 양자얽힘 광원을 개발했다. 투명한 12㎜ 길이 유리관에 원자 매질을 담았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기존 비선형 결정으로 생성한 양자광원보다 스펙트럼 폭을 1000분의 1 이하로 줄이면서 장치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문한섭 교수는 “순수 우리 기술로 고효율 양자얽힘 광원을 개발하고 이를 측정했다”며 “다양한 양자정보과학 수현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