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클라우드 장애 관련 미흡한 대처로 도마 위에 오른 아마존웹서비스(AWS) 코리아가 정부 조사에도 배짱을 부린 것으로 확인됐다.
3일 정부 등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중앙전파관리소(이하 관리소)는 AWS 서울리전 장애 관련 4일 현장조사를 계획했지만 AWS코리아가 내부사정을 이유로 미뤄달라고 요구하면서 조사가 연기됐다. AWS코리아 대표와 임원 등이 지난달 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AWS 리인벤트 2018' 행사 참석 때문에 4일 귀국해 조사를 받을 여건이 안 된다는 이유였다.
과기정통부는 AWS 장애 발생 다음날인 지난달 23일 클라우드컴퓨팅법 위반 조사를 결정하고 관리소에 AWS코리아 조사를 위임했다. 주말 직후인 26일 관리소는 AWS코리아에 클라우드컴퓨팅법 25조 '침해사고 등 통지' 위법 여부를 조사할 것이라는 공문을 보냈다.
조사 준비까지 일주일이 있었음에도 안일한 대처라는 비판이 나온다.
AWS코리아는 서울리전 장애 이후 기업별 담당 매니저 차원 사죄 외 공식사과를 하지 않고 있다. 사고 3~4일 뒤인 지난달 26일을 전후해 서울 리전에서 EC2 인스턴스에 DNS 확인 이슈가 원인이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공식사과나 피해보상 등에 대한 충분한 공지는 여전히 없다. 리인벤트 기간 한국기자단이 만난 AWS 본사나 아시아태평양 임원들이 서울리전 장애 사태에 유감을 표명한 것과 대조적인 태도다.
소프트웨어(SW)업계 관계자는 “정부 조사일정을 기업 내부사정으로 미루는 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면서 “AWS가 제대로 된 사과 하나 없더니 한국정부까지 가볍게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AWS코리아가 장애 관련 △발생 내용 △발생 원인 △AWS의 피해 확산 방지 조치 현황 △고객 피해 예방 또는 확산 방지 방법 △담당부서와 연락처 등 법상 고지사항을 신속히 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데이터센터 장애는 AWS·마이크로소프트(MS)·구글·오라클 등 외산을 비롯해 KT·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 등 국내 클라우드 기업 모두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다.
정부는 이번 AWS 조사가 향후 국내 클라우드 관련 사고 조사 선례가 될 것이라 판단하고 다방면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클라우드컴퓨팅법 외에도 전기통신사업법, 정보통신기반보호법 등 기타 관련법 위반 여부가 없었는지 검토한다. 사후규제 권한이 있는 방송통신위원회도 정보통신망법 위반 사례가 없는지 살펴본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클라우드 시장이 커질수록 문제 발생 가능성은 높아진다”면서 “국내외 기업 차별이 아닌 앞으로 클라우드 장애 시 원인 규명과 책임을 어떻게 물을지 종합적으로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AWS코리아는 뒤늦게 이번 장애에 대해 공식적으로 유감 입장 표명과 함께 재발방지를 약속했다. AWS코리아 관계자는 “지난달 84분간 DNS 설정 오류로 인해 불편을 끼쳐드려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고객사가 AWS에 기대하는 신뢰성 있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