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디지털광고전략포럼]신일기 교수 "디지털 옥외광고가 가장 가까운 4차산업혁명"

“디지털 옥외 광고는 단순 광고홍보를 넘어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공간이다. 자유표시구역은 산업 테스트베드이며 클러스터로 만들어야 한다. 시민이 참여하는 글로벌 관광명소화해야 한다.”

신일기 인천가톨릭대학교 디스플레이콘텐츠연구소 소장(교수)은 '자유표시구역을 통한 지역발전 차별화 전략 및 산업 상생 방안'을 발표했다. 신 교수는 디지털 옥외 광고는 단순히 디스플레이가 아니라 산업적 모멘텀을 이끌어 내고 스마트시티로 연결되는 사업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이 광고주의 상업 활동을 위한 장소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도시정서를 공유하는 시민참여와 비영리 문화 예술 공간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Photo Image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는 수십년간 쇄락과 부활을 반복하며 세계적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디지털 옥외광고로 나오는 상업 활동만이 아니라 시민이 찾고 활동하는 공간이 됐다. 타임스퀘어는 도로가 없어지고 광장 형태로 재구축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일본 도톤보리도 디지털 옥외광고 명소 가운데 한 곳이다. 많은 관광객이 이곳을 찾아 달리는 글리코상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다. 해당 구역 안쪽으로 들어가면 각종 체험과 수로, 관광코스가 결집됐다. 이와 달리 시부야는 상업 광고물로 넘쳐나며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한다.

신 교수는 “디지털 옥외광고에서 단조로운 광고 운영은 지양해야 한다”면서 “타임스퀘어나 라스베이거스처럼 시간에 따라 가치를 창출하고 기업과 문화 행사를 접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 옥외광고가 있는 곳을 도시 명소로 만든다. 사회반응적 공간으로 구성한다. 그는 “디지털 옥외광고가 단순히 크고 화려해야지만 사람의 주의를 끄는 건 아니다”라면서 “사람의 사회적 반응을 유도하고 소셜네트워크에 경험을 공유하는 형태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하철역사 안에 설치된 샴푸 광고를 예로 들었다. 지하철이 들어올 때 바람이 불면 디지털 광고판 안에 모델 머리카락이 날린다. 마치 실제 사람이 광고판에 들어있는 것처럼 흐트러진 머리카락을 보여주고 만진다. 사람들이 광고를 보며 즐거워하고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린다. 공간과 사람을 연결했다.

사회반응적 공간에서는 국정이나 시정 등 행정정보에서 재난 정보를 제공한다. 예술과 결합해 장소를 빛내는 도시 랜드마크 기능을 하고 기술을 결합해 스마트 도시 이미지를 부여한다. 개인 속성과 시간, 위치 등 상황 인식을 이용해 맞춤 정보를 제공한다. 다양한 인식기술로 고객 관심을 유도하는 양방향 연동형으로 구성한다.

신 교수는 “디지털 옥외광고가 가장 가까운 4차 산업혁명”이라면서 “단순광고 매체가 아니라 공간과 사람을 연결하고 이들 정보를 빅데이터화해 신산업을 창출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디지털과 현실 공간이 만나는 지점으로 초기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한다”고 덧붙였다.

시범 사업 중인 서울 코엑스 일대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 성공 전략도 제시했다. 신 교수는 “규제 개선에 대한 청사진과 서울시와 역할과 관계 재설정이 필요하다”면서 “강남구에 전담 조직을 만들고 민관 지역공동체를 구성해 협력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 협조를 얻지 않고 사업 진행이 어려워 관계 재설정이 필요하다”면서 “서울시·강남구·행안부·한국옥외광고센터 등이 역할을 함께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매체 사업을 하면 사업자-건물주-광고주가 관여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이들 사이게 끼어들 공간이 없다”면서 “산업 낙수 효과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업 참여에 다양한 주체가 필요하다”면서 “강남구에 전담 문화예술협력 조직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옥외광고 자유표시 구역이 테스트베드 역할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업 초기 자유표시구역은 해당 지역 전체를 열어 주는 것이었는데 현재는 특정면에 국한되는 상황이다. 신 교수는 강남구와 WTC 등에 구심점 역할을 제안했다.

자유표시구역 거버넌스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관리 수준이 아니라 명소화를 위한 민간과 공공영역 협의와 조정, 지원 강화가 시급하다”면서 “시범 도입과 확산, 관의 협력과 지원이 있어야 산업이 활성화 된다”고 말했다.


김인순 기자 inso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