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신년기획]개도국·선진국 '스마트시티'로 도시 문제 돌파구 모색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스마트시티 등장 배경은 도시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노령화, 교통 혼잡 심화, 에너지 소비 급증 등으로 요약된다.

이는 세계 각국이 공통으로 안고 있는 문제다. 기존 도시의 재생, 신도시 건설 단계에서 '스마트화'를 경쟁적으로 시도한다. 개발도상국은 국가경쟁력 강화 관점에서 국가가, 선진국은 삶의 질 향상 차원에서 민간이 주도하는 경향이다.

미국 등 선진국은 스마트시티 조성 과정에서 시민 참여와 친환경을 강조한다. 미국은 스마트그리드를 비롯한 에너지 효율 중심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2010년부터 추진했다. 도시 데이터 개방·연계·표준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R&D)도 2015년 시작했다.

유럽(EU) 스마트시티 정책은 에너지·교통 측면을 강조한다. 인프라 개선 기술을 개발하고 지역 별 특성에 맞게 적용한다. 2013년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전환 전략을 수립하고 개별 프로젝트는 도시 차원에서 추진 중이다.

일본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재난 복구, 에너지 효율 제고를 강조했다. 요코하마, 교토, 도요타, 기타큐슈를 시범 지역으로 지정했다. 스마트시티 기술 수출까지 노린다.

중국은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 하에 '속도전'을 추진한다. 애초 중국의 스마트시티 정책은 지방정부가 개별 추진했다. 2015년 중앙 정부가 500개 도시 구축을 골자로 한 스마트시티 계획을 발표하고 직접 관리에 나섰다. 급속한 도시화, 에너지 부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인도도 2022년까지 스마트시티 100개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 프로젝트에 총 19조원을 투자한다. 도시화에 따른 인프라 수요, 경제 성장 요구를 스마트시티로 뒷받침한다.

중남미와 아프리카 역시 도시 관리와 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스마트시티에 접근한다.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시 건설 단계부터 적용, 효율 높은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관리도 스마트시티로 해결한다.

개도국과 선진국 모두 스마트시티 구축에 적극 나서면서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개도국은 급속한 경제성장, 도시화 부작용을 해결할 대안으로 스마트시티를 주목한다. 선진국의 도시 재생 프로젝트에도 지능화 인프라가 필수다.

<주요국 스마트시티 정책(자료:한국토지주택공사)>

주요국 스마트시티 정책(자료:한국토지주택공사)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