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기계학습으로 MRI 영상 획득 시간 6분의 1로 단축

소프트웨어(SW)로 자기공명영상장치(MRI)의 영상 촬영 시간을 6분의 1까지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총장 신성철)는 박현욱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팀이 기계학습 기반의 영상복원법을 이용해 MRI의 영상 획득 시간을 잡음 없이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Photo Image
일반적인 MRI 영상 획득, 가속 영상 획득 방식을 설명한 모식도

MRI는 방사능 없이 체내 조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기기다. 다양한 해부학 구조, 기능·생리 정보를 영상화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반면 영상 획득 시간이 길다. 수신 코일에서 얻은 주파수 정보를 한 줄씩 인코딩하면서 많은 시간이 걸린다. 뇌 영상을 찍을 때는 보통 300~500줄의 주파수 정보를 활용한다. 촬영 및 대기 시간이 길 수밖에 없다. MRI 촬영 비용을 높이는 원인이다.

대안으로 도입한 것이 일부 주파수 대역 촬영을 생략하는 '서브샘플링' 기법이다. 그러나 오히려 영상 내 신호가 겹쳐 잡음이 되는 '에일리어싱 아티팩트' 현상이 발생했다.

에일리어싱 아티팩트를 없애기 위해 여러 개의 수신 코일을 활용하는 '병렬 영상법', 신호 압축 센싱 기법도 나왔지만 시간 단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연구팀은 기계학습을 이용한 영상 복원으로 촬영 시간과 잡음 문제를 해결했다. 서브샘플링으로 열화된 영상과 온전히 샘플링된 영상의 관계를 학습하는 방식을 썼다. 이 방법을 적용하면 영상 획득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Photo Image
박현욱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특화된 인공 신경망을 적용, 잡음도 없앴다. 기존 병렬 영상법과 같이 여러 개의 수신 코일 정보를 활용하면서 잡음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부분만을 연결, 효율성을 높였다.

박 교수는 “MRI는 환자 진단에 필요한 필수 장비지만 영상 획득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이 걸림돌”이라면서 “기계학습을 활용해 영상 획득 시간을 크게 줄이고 환자와 병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