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은 무기였다. 1945년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됐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핵분열 에너지를 평화롭게 이용하기 위한 원자력발전소가 지어졌다. 우라늄 1g이 석유 9드럼과 같은 양의 에너지라는 설명은 꿈만 같았다. 다중 방호 체계로 보호된 원전은 안전해 보였다. 방사성 물질이 원전 밖으로 방출될 것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았다.
이런 꿈은 1979년 미국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 1986년 당시 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 1999년 일본 핵연료가공회사(JCO) 임계 사고와 무엇보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겪으면서 깨졌다. 세계 각국은 원전의 사고 가능성과 위험성을 인식하고 대비책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원전 안전 규제를 강화했다. 만약의 사고에 대비, 방사능 방재 체계를 재정립했다.
방사능 재난은 일단 발생하면 장기간에 걸쳐 대규모 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안전 점검을 철저히 해서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철저한 사전 방비에도 사고는 언제든 예고 없이 찾아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방사능 누출 사고에 대비한 대응 체계를 갖추는 것은 사전 방비만큼이나 중요하다.
우리나라도 방사능 재난 위험성과 특징을 고려, 국가 차원의 종합 방사능 방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방사능 재난이 발생하면 원자력안전위원회 중심으로 국방부 등 18개 유관 부처,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과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전문기관,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 등 기관이 조기 사고 수습과 주민 보호 조치에 나선다.
위기 대응에서 당황하지 않기 위해서는 평소 충분한 훈련으로 맡은 바 임무와 역할을 숙지해야 한다. 비상 상황에서는 논리 사고가 어렵다. '머리'가 아닌 '몸'이 기억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훈련이 필요하다.
원안위 중심으로 관련 중앙 부처, 지자체, 전문기관 등은 각각 방사능 재난 대응에 필요한 매뉴얼을 미리 마련, 만일의 재난 사태에 대비한다. 강도 높은 훈련을 지속 실시, 방사능 방재 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매년 정부가 주관하는 국가 단위의 대규모 방사능 방재 훈련인 연합훈련을 비롯해 지자체가 주관하는 합동훈련, 전문기관과 지자체가 각각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하는 집중훈련, 원자력사업자 자체 훈련 등 크고 작은 훈련이 연간 100여회 지속 실시된다.
2일 한울원전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7 국가 방사능 방재 연합훈련'에는 원안위를 중심으로 18개 중앙 부처, 100여개 기관과 단체, 2000여명 안팎의 지역 주민들이 참여했다.
원전 인근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6.5의 지진과 발전소 내 주요 장비 고장이 각각 발생하는 상황을 가정한 훈련을 실시했다. 중앙과 현장이 얼마나 긴밀하게 협조해서 사고에 얼마나 제대로 대응하는지를 점검했다.
이번 연합훈련은 중국 국가핵안전국과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 참관단이 참가하는 제4차 한·중·일 합동훈련과 동시에 실시됐다. 인접국 원전 사고의 대응 능력도 점검했다.
우리나라는 고리 1호기가 올해 6월 영구 정지에 들어감에 따라 현재 24기 원전이 가동되고 있다. 철저한 원전 안전 규제로 방사능 재난을 사전에 방지하고, 실전 같은 방사능 방재 훈련으로 만약에 있을 비상 상황에 대비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이다. 원안위는 언제나 '설마'가 아니라 '언제든'의 마음으로 국민과 환경 보호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는 각오로 임하고 있다.
김용환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yhkmost@korea.kr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