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미리 수하물을 보내 짐 없이 공항에 도착한다. 공항 입국심사대만 통과하면 보안검색이 완료된다.'
국토교통부가 미래 스마트공항 종합계획(안)을 내놓고 28일 서울 메이필드 호텔에서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
지난 해 기준 인천공항은 수용능력 대비 수용실적이 107%, 제주는 117%에 달한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수용 효율화가 필요하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우리나라 항공여객이 2020년까지 연평균 8.1%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기반 시설 확장만으로는 공항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스키폴·히드로·창이 등 세계 선진공항은 신기술을 도입해 공항 혼잡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국토부 스마트공항 계획(안)은 4차 산업혁명의 주요기술인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을 접목한다. 여객이 집에서 출발해 여행이 끝나 돌아오기까지 전 과정에서 이음새 없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부적으로는 스마트 접근교통·프로세스·정보서비스·운영·테스트베드 및 스마트공항의 해외진출까지 6가지 전략을 수립한다.
여객이 자택이나 KTX 역 등에서 수하물을 위탁하는 수하물배송 서비스를 도입해 공항까지 짐 없이 이동할 수 있게 지원(2019년, 인천·김포)한다. 웹·모바일을 통해 인천공항행 리무진 좌석과 공항 주차장을 사전 예약하는 시스템(2019년, 김포)을 구축한다.
공항에서는 '체크인→수하물위탁→보안검색→출국심사→보딩' 출국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소요시간을 단축한다. 생체인식 기반으로 탑승수속을 셀프서비스화(2021년, 제주·김포·김해)한다. 터미널 외 지역에서 탑승수속(2023년, 인천)을 지원해 공항혼잡을 피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709/999079_20170927130629_315_0002.jpg)
보안검색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병렬검색대(2019년, 인천)와 터널형 보안검색대(Walking Through)를 도입한다. 인적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AI 기반 엑스레이 자동판독(2018년 개발착수, 인천) 시스템도 개발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709/999079_20170927130629_315_0001.jpg)
메신저형 챗봇(2018년 인천)을 활용해 공항이용정보를 실시간 제공한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을 이용한 공항 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설치한다. VR를 이용해 상품 체험 후 핀테크로 결제하는 스마트 면세점 운영도 추진한다.
IoT, 빅데이터를 통한 무장애 공항운영, 차세대 항공교통 관제 및 항행시설 시스템 기반을 구축하고 지능형 CCTV를 도입해 화재와 테러에 대응한다.
국토부는 공청회 등 의견수렴을 거쳐 연말 종합계획을 확정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스마트공항의 선두주자가 되기 위해 범정부 지원이 필요한 만큼 관련 법 정비 등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공항 로봇 도입 현황 및 계획>
![인천공항 로봇 도입 현황 및 계획](https://img.etnews.com/photonews/1709/999079_20170927130629_315_T0001_550.png)
![미래 '스마트공항' 모습은...국토부, 청사진 마련](https://img.etnews.com/photonews/1709/999079_20170927130629_315_T0002_550.png)
문보경 산업정책부(세종)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