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일자리 문제 해법, 산업단지에 있다

Photo Image
황규연 산업단지공단 이사장

오늘날의 가장 큰 사회 문제는 당연 '일자리'다. 대통령 제1호 업무 지시가 '일자리위원회 구성'이었다. 위원장을 대통령이 직접 맡았다. 사상 처음 '일자리 추경'이 편성됐다.

세수는 증가하고 경제는 어느 정도 회복됐다는데 고용은 늘지 않으니 '일자리 불임'이란 말까지 나온다. 청년실업률은 9.3%로 수치가 개선됐지만 비자발적 비정규직과 청년 니트(NEET)족을 포함하면 체감 청년실업률은 23%에 육박한다.

그런데 정작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의 절반이 있는 산업단지 현장에 나가 보면 일손을 구하는 벽보로 가득하다. 산업단지에 왜 이런 '미스매치' 현상이 일어날까.

우선 과거 공급 중심 개발에 따라 근로자가 필요로 하는 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도시 기능이 배제된 노후 공장지대는 결코 청년을 불러 모을 수 없다. 근로자가 '퇴근 후 삶'을 오롯이 누릴 수 있는 복지 기본 시설과 도심의 근로자가 영위하는 수준의 문화·여가 시설이 들어서야 한다.

산업단지의 어두운 이미지 또한 문제다. 아직도 많은 사람은 '산업단지' 하면 '회색빛' '굴뚝연기' 등을 떠올린다. 그러나 지금의 산업단지는 잘 정돈돼 있고, 환경 문제는 엄격하게 관리된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은 2012년도 노후산업단지 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정부와 조성한 공동 펀드를 마중물로 민간 자본을 유치, 반월산단에 환경집적화 공장을 건립했다.

이 사업은 도금 등 7개 환경 업종을 영위하는 기업과 공동으로 진행한 것이다. 공장 건립 후 참여 기업은 매년 에너지 30%, 폐수 분리 처리비용 50%, 전기요금 57% 절감은 물론 주변 및 작업 환경 개선으로 종전 20% 미만의 청년 고용 비중이 60%까지 상승했다. 산업단지 환경 개선은 기업 경쟁력 강화뿐만 아니라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인 셈이다.

근본 문제로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이 청년의 눈높이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부분도 생각해야 한다.

중소기업 급여와 복지 수준을 올리고 비전을 보여 줘야 한다. 그러려면 먼저 기술력과 비즈니스 능력을 축적해야 한다. 기업의 근간이 튼튼해져야 급여도 올릴 수 있고 기업의 장래성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산단공은 2004년부터 산학연관협의체(미니클러스터)를 구성, 협의체 내 산·학 또는 기업 간 네트워킹 활동을 통해 도출한 과제를 지원하는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 사업'으로 맞춤형 연구개발(R&D)을 지원하고 있다.

사업 참여 기업은 일반 국가 R&D 사업에 참여한 기업보다 R&D 투입비 10억원당 특허 출원 건수 약 1.3배, 특허 등록 건수 약 2.5배의 높은 기술 역량을 보였다. 다양한 기관의 지식·경험·기술의 교류가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고부가 가치 산업을 창출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 R&D 컨설팅 등 기술 혁신형 강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제조업 현장을 정보기술(IT)과 융·복합, 스마트화 등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반월산단에 있는 A사는 스마트공장 도입 이후 관련 시스템 운영을 위한 '관리형' 일자리가 늘고, 근로자의 직무 만족도도 높아졌다고 한다. 최근 스마트공장추진단의 조사 결과 공장 스마트화가 고용 증가율은 유지하고 고용의 질은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단지는 제조업 분야 근로자의 절반(약 216만명)이 일하고 있는 곳이다. 좀처럼 풀리지 않는 일자리 문제의 실마리를 산업단지에서 풀 수 있도록 역점을 두고 '산업단지 환경 개선'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 사업' 등을 지속 추진해야 한다.

황규연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 qhwang1@kicox.or.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