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텃새 때문에… 콜버스랩, '공유 대신 수익' 집중

Photo Image
사진=콜버스 앱 캡쳐

택시 텃새에 밀린 콜버스랩이 결국 사업 방향을 틀었다. 돈 안 되는 공유경제 대신 돈 되는 사업에 집중하기로 했다.

콜버스랩은 18일 전세버스 예약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역경매 방식 플랫폼이다. 이용자가 출발지와 목적지, 이용날짜, 인원수를 앱에 남기고 예약하기를 누르면 제휴 버스 운전사들이 차례로 견적을 내는 서비스다. 가격과 버스 상태를 사진으로 보면서 원하는 운전사를 고를 수 있다.

이 회사는 승차공유 앱 '콜버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다. 공유경제 사업을 주력으로 삼아왔다. 그러나 불어나는 적자를 만회하기 위해 사업 다각화를 선택했다. 기존 사업을 유지하면서 새 먹거리로 반전을 노리겠다는 계산이다. 현재 수익 구조는 투자금 중 10분의 1도 건지기 어려운 상태다.

콜버스 사업은 초창기부터 택시업계 반대에 부딪혔다. 승객을 빼앗긴 택시 운전사들은 노선이 정해지지 않은 버스 영업은 불법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택시 운전사도 콜버스를 운행할 수 있는 길이 열렸지만 반응은 여전히 싸늘하다. 규제도 발목을 잡았다. 서비스 운영 시간과 지역까지 제한당하면서 수익률은 계속 떨어졌다.

국토교통부 때문에 두 번 울기도 했다. 국토부는 지난해 초 한정면허 관련 시행규칙에 콜버스를 합법화하는 내용을 추가했다. 노선버스·택시 면허업자에 한해 콜버스 운영을 허용한 것이다. 노선버스는 준공영제로 분류돼 심야 운행하는 콜버스에 발을 담그려면 풀어야 할 숙제가 많기 때문이다.

현재 콜버스 플랫폼을 사용하는 택시 18대가 영업 중이다. 수익을 내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온·오프라인 연계(O2O) 사업은 대중에게 서비스를 알리는 게 중요하다. 편리함이 입소문을 타고 번져야 사업을 키울 수 있다. 택시 수가 300대는 넘어야 사업을 키울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판단이다.

박병종 콜버스랩 대표는 “전세버스 예약 서비스는 시장 투명성을 높이고 불합리함을 개선해 운전자와 승객 모두에게 도움을 준다”며 “향후 공유경제 기능을 추가할 목표”라고 말했다.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