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 의장(미래창조과학부 기획조정실장)은 1987년 행정고시에 합격했다. 공직생활 30년이다. 체신부를 시작으로 정통부, 전파관리소, 미래부까지 정보통신 업무를 두루 수행했다. 이 뿐만 아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연합(UN),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남다른 글로벌 감각과 안목도 겸비했다.
3년 전 부산에서 열린 2014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 의장으로 역대 최고 전권회의를 이끌었다. 공직 30년차 민 의장의 일관된 신념은 하나다. 바로 '봉사'다.
민 의장은 “공무원 초년 시절에 88올림픽 방송운영지원단에 파견 나가 외국 방송사 직원에 물을 날라주고 생수통 위에서 잠을 잤다”며 “빛이 나는 일은 아니지만 싫어도 누군가는 반드시 해야 하는 게 봉사라는 생각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OECD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 의장은 국가를 넘어 '국제적 기여와 봉사'를 하는 자리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민 의장은 지난해 11월, 아시아인으로는 최초로 이 업무를 맡게 됐다. 우리나라가 OECD에 가입한 1996년 이후 분야별 위원회 의장으로 선임된 것도 처음이다. 우리나라 ICT 위상이 높아진 결과다.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는 정보통신기술(ICT)과 ICT 기반 경제·사회 발전 정책을 논의한다. 논의 의제는 4차 산업혁명과 밀접하게 연관되며 각국 정책 수립에 영향을 미친다. 의장은 연 2회 의제 설정과 회의를 주제하고, OECD 이사회와 교섭한다.
민 의장은 “ICT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는 ICT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전반에 대한 정책을 논의한다”며 “OECD 28개 위원회 중 14개가 참여하는 '고잉 디지털'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참여 위원회는 프로젝트를 통해 디지털 기술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 경제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논의한다. 과거엔 이같은 대형 프로젝트가 없었다는 게 민 의장의 설명이다.
5월 공식 회의에서는 인공지능(AI) 관련 가이드를 OECD 차원에서 만들어야 할 지를 논의한다. AI와 관련 산업은 빠르게 발전하지만 아직 윤리 기준 같은 정책은 없기 때문이다. AI뿐만이 아니다. 다른 기술 분야도 정책이 기술발전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게 민 의장의 생각이다.
민 의장은 “기술은 4.0 시대인데 정책은 아직 1.0인 아날로그 시대에 머물고 있다”며 “로봇 확산에 따른 실직 증가, 기술발전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 등 앞으로 있을 변화에 대비하는 정책을 마련하고 제안하는 게 5년 임기 동안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