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값이 없어서…`중소기업 83.3% "브랜드 인지도 없어 한계 느꼈다"

Photo Image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전자 분야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A대표는 해외 바이어를 만나 진땀을 뺐다.

해외 바이어가 의심의 눈길을 거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중소기업이어서 겪은 설움이다. 10년 넘게 업계의 거래 실적을 쌓았지만 큰 효과가 없었다. A대표는 “이름값 없는 중소기업인 우리를 못 믿었다”면서 “해외에도 잘 알려진 대기업에서 근무했다는 점을 강조한 뒤에야 경계심을 풀었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 10곳 가운데 8곳은 브랜드 인지도가 없어서 국내외 경영 활동에 제약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Photo Image
취약한 브랜드로 인한 제약 또는 한계경험(단위: %)(자료 :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브랜드 인식 조사`에서 중소기업의 83.3%는 자사 브랜드가 잘 알려지지 않아 영업 활동에 제약이나 한계를 경험했다고 1일 밝혔다. 중기중앙회는 109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 기업은 브랜드 홍보 애로 사항으로 전문 인력 부족(33.7%), 경험 부족(32.0%), 자금 부족(30.2%)을 꼽았다. 그럼에도 중소기업의 98.2%는 브랜드가 기업 성장에 필수라고 인식했다. 브랜드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도 63.3%였다.

Photo Image
중소기업 성장시 브랜드 필요성(단위 : %)(자료 : 중소기업중앙회)

기업들은 브랜드 인지도가 수출 촉진에도 효과가 있다고 응답했다. 수출기업 98.5%, 내수기업 69.8%는 해외 바이어가 인지하는 브랜드가 수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대한민국 대표 공동 브랜드가 있다면 참여하겠다는 중소기업은 80.7%였다.

기업은 브랜드 인지도 제고 때 다른 이점으로는 제품 가격 상승, 마케팅 비용 절감 효과를 꼽았다. 브랜드 제고가 제품 가격 상승, 마케팅 비용 절감과 무관하다는 응답은 각각 9.3%, 4.6%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낮은 인지도 때문에 품질이 좋아도 소비자 불신을 살 수 있다고 우려한다.

조이현 중소기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브랜드는 공신력과 직결되는 요소인데 해외에서 국내 중소기업 브랜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아 신뢰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공동 브랜드를 후원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영호 중기중앙회 회원지원본부장은 “예상 외로 많은 중소기업이 브랜드가 알려지지 않아 국내외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한국 중소기업의 차별화 해소를 위해 정부는 브랜드 육성 방안에 정책 역량을 더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브랜드 인지도 확보 애로사항(복수응답)(단위 : 개사, %)>

브랜드 인지도 확보 애로사항(복수응답)(단위 : 개사, %)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