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6/12/15/article_15172813514008.jpg)
4차 청문회, ‘정유라 입학 특혜’ 의혹에 이대 측 증인 엇갈린 진술
‘비선실세’ 최순실 씨의 딸 정유라 씨의 이화여대 입학 특혜 의혹을 두고 증인들 사이에서 진술이 엇갈리는 등 진실공방이 벌어졌다.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4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대 측 증인들은 “부당한 특혜나 압력은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교육부 감사 담당자들이 “이미 특혜가 있었음을 확인했다”고 밝혀 이에 여야 의원들은 이대 측 증인들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날 청문회에는 이화여대 최경희 전 총장과 김경숙 전 체육대학 학장, 남궁곤 전 입학처장이 정씨의 지원 사실을 알고 있었는지, 합격 지시나 압력이 있었는지에 질의가 집중됐다.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의 질의에 남궁 전 처장은 “당시 김 전 학장이 승마 유망주와 아시안게임 얘기를 하며 정윤회 씨의 딸이 우리학교에 지원했다는 얘기를 넌지시 말했다”고 발언했다.
이어 “그 후 제가 인터넷으로 정윤회 씨의 딸에 대해 검색해 알아봤다”고 밝혔다.
안 의원이 “최 전 총장에게 이를 보고했더니 뭐라고 하던가”라고 묻자 남궁 전 처장은 “첫 마디가 정유라 씨가 누구냐고 묻더라”라고 답했다.
그러나 김 전 학장은 “그런 사실이 없느 것으로 기억된다”며 부인했다.
이어 “학장이 지시할 입장이 아니다”라며 “저는 입학전형이 진행되던 지난 2015년 9월23일에야 정유라 이름이 보도에 나온다고 해서 알았다. 입학처에 갔더니 (입학처에서 남궁 전 입학처장을 만났더니)이미 20일부터 알고 있는 것 같더라. 저는 김종 전 차관은 알았지만 정유라의 이름은 맹세코 몰랐다”고 밝혔다.
그러나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의 질의에 남궁 전 처장은 “당시 9월15일에 원서가 마감됐고 제가 총장께 보고가 들어간 게 9월 22일이다. 그 사이에 김 전 학장을 뵌거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9월23일에는 다른 행사 때문에 다르게 만난 것으로 안다”며 김 전 학장의 진술에 대해 완강하게 부인했다.
또한 정씨의 면접 과정에서 부당한 압력이 있었는가도 논란이 됐다.
남궁 전 차장은 “면접관들에게 영향을 미칠만한 행동을 아무것도 한 것이 없다”며 부당 압력 의혹을 부인했다.
그러나 교욱부에서 이화여대 감사를 맡았던 김태현 과장은 “본인은 그렇게 주장을 하지만 면접위원이 5명이었는데 그들은 영향을 받았다고 진술하고 있다”며 남궁 전 차장의 주장을 일축시켰다.
이어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의 “김 전 학장이 정씨의 학점관리를 청탁했느냐”는 질문에 김 과장은 “김 전 학장은 부인하지만 나머지 교수들께는 그렇게 지시했다는 진술을 했다”고 폭로했다.
또한 최 전 총장이 정씨에게 특혜를 주기 위해 김관복 청와대 교육비서관을 만났다는 의혹과 관련해 최 전 총장은 “올해 7월 중순 쯤 김 비서관을 만난 것은 맞다. 그는 제가 과거 청와대 비서관으로 근무할 때 선임행정관이어서 2년에 한 번씩 비서관실 식구들끼리 만난다”고 답했다.
이어 “단순한 안부를 물었다”며 관련 의혹에 대해 부인했다.
이에 “둘이 만난 것이냐”는 질문이 나왔으나 최 전 총장은 “저는 원래 남자를 둘이 만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논란이 계속되자 여야 의원들은 최 전 총장을 비롯해 이대 측 증인들을 향해 거센 비난을 가했다.
새누리당 장제원 의원이 이대 측 증인들에게 “이대를 떠나라. 도의적 책임을 져라”라고 촉구하자 최 전 총장은 “이때까지 이화가 저의 모든 것이었다. 의원님 말씀은 심각하게 고민해보겠다”고 답했으며 김 전 학장은 “책임질 일이 있으면 100% 책임지겠다”고 발언했다.
한편 하 의원이 “이화여대 분들에게 제보가 쏟아진다. 남궁 전 처장은 수업시간에 본인이 기회주의자라고 한 적이 있느냐”고 묻자 이에 남궁 전 차장은 “수업시간에 제 (이념적)색깔을 폭넓게 보이기 위해 스스로 표현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에 하 의원은 “학생들은 청탁이 없어도 알아서 권력에 충성하는 스타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비난했다.
이윤지 기자 yj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