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이상과 실상의 `착시현상`에 대한 우려가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기술은 이제 막 걸음마 수준인데 상용화가 멀지않았다는 인식이 나오고 업체 기술이나 정책에서도 기대치가 과도하다는 지적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시장·역량·환경·레벨 착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착시는 시장을 키우고 산업을 육성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고급차에 탑재되기 시작한 첨단운전자보조장치(ADAS) 정도를 보고 자율주행이 시작됐다고 오해하는 소비자가 많다. 작동이 안돼도 운전자에게 100% 책임이 있는 ADAS와 오류가 허용되지 않는 자율주행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게다가 ADAS는 특정조건 하에 자동차가 스스로 조향·제동·가속을 할 수 있는 수준에 불과하다. 데모 수준의 콘셉트카만 나와도 곧 상용화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것도 문제다. 일부 완성차 업체들이 레벨 3 수준의 기술력은 확보했으나 아직 100% 검증이 끝난 상황도 아니다. 단기간 내 완전 자율주행 시장이 열리긴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국내 기술 수준에 대한 오해도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이재관 자동차부품연구원 본부장은 “국내 중견중소기업은 레벨1 수준 조차도 사업 진입단계에 불과하다”면서 “자율주행 선행투자는 초보수준이고 글로벌 선도업체에 국내 업체 인지도가 전무한데도 몇몇 데모 제품을 보고 우리도 글로벌 역량을 갖고 있다는 착시현상이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확한 현실 인식이 없으면 투자가 절실한 분야를 파악할 수 없다”면서 “관심은 좋지만 각종 착시는 산업 발전에 오히려 걸림돌”이라고 덧붙였다.
선진국의 정책을 그대로 베끼는 접근도 문제로 지적된다.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인프라나 법·제도가 다른데도 해외에서 하는 서비스나 개발 동향을 그대로 따라하면서 국내 상황이 반영되지 못할 수 있다는 것.
완성차 업체별로 자율주행 수준을 의미하는 `레벨`에 대한 해석도 다르다. 주율주행이 필요한 이유와 진화 방향에 대한 시나리오가 각기 다르다. 이 때문에 기술과 환경 변화에 맞춰 자율주행에 대한 정의가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김용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은 “기대감은 큰 데 현실이 이에 따라가지 못하는 엇박자가 일어나는 것은 문제”라며 “이를 바로 보기 위한 노력부터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리:자동차부품연구원>
문보경 자동차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