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4주년 특집2-人]<20>김치원 서울와이즈요양병원장

“헬스케어가 디지털화 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 신디롬이 디지털 헬스케어 영역까지 확대됩니다. 원격의료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합니다.”

김치원 서울와이즈요영병원장 말이다.

김 원장은 내과 전문의이지만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레지던트를 마친 후 맥킨지에서 의료·정보기술(IT) 분야 경영컨설턴트로 일했다. 삼성서울병원 의료관리학과 조교수로 병원전략 수립에도 관여했다. `의료, 미래를 만나다`라는 책을 출간했다.

Photo Image

디지털 헬스케어는 모바일 시대가 왔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인터넷 시대와 모바일 시대가 다른 것은 실시간 측정하는 센서와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라며 “일상생활에서 진단검사는 물론 제한은 있지만 치료까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원격의료 도입이 필요하다.

김원장은 “원격의료와 원격진료를 구분해야 한다”며 “원격진료는 의사의 즉각적 진료행위를 포함한 것을 의미하고 원격의료는 원격진료를 제외한 원격 건강관리서비스가 해당 된다”고 설명했다. 정부 규제와 제도도 이를 구분해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김 원장은 만성 질환인 당뇨병을 예로 들었다. 김 원장은 “당뇨환자가 상시적으로 당뇨수치를 측정해 스마트폰이나 병원 전자의무기록(EMR)으로 관리하는 원격의료 서비스가 있다”며 “의사 진료는 환자와 면대면으로 이뤄져 원격진료가 아니다”고 말했다. 원격의료 서비스는 허가절차 등을 완화해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게 김 원장 주장이다.

국내 현실에 맞는 원격진료 서비스도 필요하다. 김 원장은 “원격진료 서비스가 우리나라 현실에서 왜 필요한지 생각해야 한다”며 “미국 원격진료 서비스는 국가의료보험이 적자가 되면서 의료비용 절감을 시작했다”고 전제했다. “진료비가 낮은 우리나라는 원격진료 가격을 현 진료비보다 낮게 책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사용자들도 고민해야 한다. 김 원장은 “미국 원격진료 이용을 보면 바쁜 직장인이 주 이용자”라며 “우리나라처럼 의료 접근성이 좋은 나라에서는 효과가 덜하다”고 전했다. 현 고민만으로 원격진료가 병원 만성질환자 대상 디마케팅 기법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원격진료 허용을 대비해 활용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 이유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사업자 해외시장 공략도 주문했다. 김 원장은 “원격의료 서비스가 국내에서 어렵다고 해서 허용만을 기다리는 것은 무의미하다”며 “미국이나 중국 등 해외에서 먼저 사업을 시작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허용되더라도 국내 시장이 좁아 해외시장을 공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향후 미래 의료로 인공지능이 대두될 것으로 예측했다. 인공지능이 의사를 대체하려면 적어도 몇 세대가 흘러야 가능할 것으로 봤다.


신혜권 SW/IT서비스 전문기자 hksh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