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골든타임 살리는 `긴급구난체계(e-Call)` 논의 본격화

국토교통부와 미래창조과학부가 공동 후원하는 `e-Call 포럼`이 출범했다. 우리나라에서도 ICT 기반의 차량 긴급구난체계 도입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신호탄이다.

e-Call은 차량 운행 중 교통사고가 나면 e-Call 단말 센서가 사고를 자동으로 인지, 긴급 구조를 돕는 시스템을 말한다.

Photo Image
e-Call 포럼 운영 계획 로드맵 (제공=e-call 포럼)

조용성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ITS코리아) 기술표준센터장은 31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e-Call 포럼 창립 기념 세미나`에서 “교통사고 시 긴급구조기관이 20분 이내에 도착하지 못해 발생하는 사회적 손실에 대한 해결방안을 시스템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24시간 전국 어디서나 전 차량이 자동으로 사고를 판단해 사망사고 및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e-Call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e-Call은 오지 등 사고취약 지역이나 새벽 시간대 교통사고로 의식을 잃었을 때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 블랙박스에 탑재된 센서가 사고를 자동으로 인식한 뒤 관제센터로 보내 119나 구조 기관에 연락하게 된다.

e-Call 포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차량 1만대당 사망자 수가 2.2명으로 OECD 평균 1.1명보다 2배 가량 높다. 이는 교통사고 발생 후 생존 가능을 높이는 `골든타임` 내 대응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나라 예방 가능 외상 사망비율은 미국(15%), 일본(13%) 등 선진국보다 2~3배가량 높은 35.2%에 달한다.

조 센터장은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긴급구난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됐고 민간, 공공기관 등 긴급구난 상황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이번 포럼이 발족했다”며 “오는 2019년 6월까지 e-call 플랫폼, 알고리즘 개발 및 실증사업을 통해 실효성을 밝혀내고, 의무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은 2018년 4월, 러시아는 2017년부터 e-call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e-Call 시스템이 구축되면 교통사고 사망률을 2∼3% 줄여 연간 100∼150여명의 사망자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른 직접적인 사회적 비용은 400억~600억원에 달한다. 또 부상 심각도 감소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약 960억원 감소가 예상된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2014년 기준 전체 도로교통사고 사망·부상자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15조6750억원을 차지했다.

포럼은 연구개발 및 실증시험을 거친 뒤 우체국, 택시, 버스 등 사업용 차량에 우선 적용해 시범사업을 제안했다. 버스와 택시는 디지털 운행기록계 의무장착과 연계 추진해 실제 e-Call 실효성에 대한 성과를 파악한다. 이후 범국가 차원 서비스로 확대하기 위해 △e-Call 센터 구축 △응급구난기관 연계 △적용 대상차량 확대 등을 추진한다.

한편 e-Call 포럼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ITS코리아)가 공동으로 발족했다. 초대 의장으로는 교통안전공단 오영태 이사장이 선임됐다. 향후 포럼에서는 운영위원회와 기술표준, 법제도 추진, 사업화 부문 분과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류종은 자동차 전문기자 rje312@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