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조건 개선으로 시작한 대기업 동반성장이 매출확대 지원 및 협력사 맞춤형 지원으로 진화하고 있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이하 `협력센터`)는 1일 동반성장지수 5년차를 맞아 `동반성장 우수기업 사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대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첫 걸음은 동반성장 전담조직 설치로부터 시작됐다. 2003년 국내 대기업 최초로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설치한 SK텔레콤을 시작으로 올해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 최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 25개사 모두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은 초기에는 거래조건 개선에 초점이 맞춰 동반성장을 지원했다. SK텔레콤은 2004년부터 협력사 현금유동성 지원을 위해 대금규모와 관계없이 납품대금을 다음날 지급하는 `중소기업 케어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또 삼성전자는 2005년부터 국내 최초로 납품대금 현금지급 제도를 도입했다.
대기업은 2011년 동반성장지수 시행 이후부터 체계적·종합적 지원을 펼쳤다. 30대 그룹은 협력사 생산성 향상, 연구개발(R&D) 및 해외판로개척 지원, 인력양성 등을 위해 2011년 1조5356억원을 지원했고, 지난해는 2000억원 늘어난 1조7406억원을 지원했다.
대기업은 최근 생산성 향상, 매출확대 분야 등으로 협력사 지원을 확대하는 추세다. 삼성전자는 협력사 생산성 향상을 위해 스마트공장 사업을 진행한다. 현대·기아차는 2012년부터 협력사 채용박람회를 매년 실시하고, 이로 인해 지난해에만 약 4400여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포스코는 벤처기업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선정해 포스코가 직접 투자하거나 외부투자자와 매칭해주는 `아이디어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2011년부터 현재까지 122개 회사가 지원을 받았으며, 이 가운데 포스코가 직접 투자한 53개 기업은 투자이전 대비 69% 매출이 늘었다.
배명한 협력센터장은 “거래조건 개선을 시작으로 한류를 연계한 해외 판로지원에 이르기까지 대기업 동반성장 활동이 날로 진화하고 있다”며 “협력사 맞춤형 동반성장 사례가 더욱 늘어나려면 대기업이 자발적으로 동반성장에 나설 수 있는 인센티브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명희 기업/정책 전문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