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리더스포럼]감동근 아주대 교수 "알파고 힘은 `딥러닝`..바둑은 좋은 인공지능 플랫폼"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앞선 배경에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딥러닝 기술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딥러닝 기술이 더해져 알파고 인공지능(AI) 기술이 한 단계 올라섰습니다.”

감동근 아주대 교수는 19일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한국IT리더스포럼`에서 AI 기술 발전을 위해 유용한 데이터 분석이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둑에서 중요한 개념이 `수읽기`와 바둑판 모양을 이해하는 `감각`이다. 기존의 바둑 대결 시스템은 일명 `몬테카를로 탐색 기법`으로 바둑판에서 전체 경우의 수를 분석해 읽는 방식이다. 상대방이 놓은 수를 보고 다음 경우의 수를 계산, 이길 확률이 가장 높은 수를 놓는 것이다.

감 교수는 “사람의 수읽기는 단순 확률만 보지 않는다. 전체 판 모양을 보고 안 될 것 같은 수는 일찌감치 제외하고 될 것 같은 수만 자세히 본다”며 형세를 보고 판단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알파고는 몬테카를로 기법에 더해 기보(바둑기록) 데이터 16만건을 토대로 실전 경험을 매일 3만번 쌓았다”면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딥러닝이 알파고 기술을 향상시켰다”고 덧붙였다. 그는 국산 바둑 AI `돌바람`도 알파고만큼 기보를 학습하면 충분히 알파고를 넘어설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감 교수는 바둑이 AI 연구에 좋은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림으로 AI 정도를 측정한다면 정략 상으로는 측정하기 어렵다. 바둑은 AI 발전을 정략 기법으로 측정하기 좋은 플랫폼”이라고 부연했다.

세계 주요 국가와 기업이 앞다퉈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감 교수는 자율주행자동차와 의료 분야에서 AI 기술이 우선 도입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구글, IBM 같은 기업에서 이미 의료와 자율주행자동차 분야에 AI 기술을 다투어 도입 하고 있다”면서 “AI를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차는 5년 안에 무리 없이 운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보기도 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