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자율주행이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할 전제조건인 예비타당성조사를 3년 만에 통과했다. 자동차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자율주행자동차 기술 개발 지원에 세계 각국이 뛰어든 가운데, 우리 정부도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띄울 수 있게 됐다.
완성차 업체와 대형 부품업체들은 자체적으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진행해 왔으나 이번 국책 프로젝트를 통해 중견·중소기업과 학계에서도 관련 기술 개발 붐이 일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 등 인프라 측면에서도 큰 진전이 이뤄질 전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3년 기획된 범정부 차원 `자동차 전용도로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 사업`이 3년 만에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또한, 국토교통부가 자율주행 자동차 안전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관련 프로젝트 기획에 들어갔다. 국토부는 내달 마스터 플랜을 완성하고 내년부터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자율주행 핵심 기술 개발 사업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동안 추진되지 못한 사업이다. 2013년 기획된 후, 미래창조과학부의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으나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에는 후보에도 오르지 못했다. 사업 기획단은 지난해 초 다시 미래부 기술성 평가를 받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아왔다.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한 국책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등 시기적으로 시급한 과제로 평가를 받고 최근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합격점을 받았다. 이 사업은 미래창조과학부·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해 범부처 사업을 진행될 전망이다. 최종보고서는 나오기 전이어서 사업 규모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 사업은 자율주행 관련 23대 핵심 기술을 사용화하고 글로벌 100대 부품 기업 2개와 중견기업 10개, 대기업 7개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향후 7년간 진행되는 것으로 기획됐다. 이 사업은 레이더·영상 기반 주행상황 인지 모듈, 통신모듈, 고정밀 복합측위 모듈, 스마트 액추에이터 등 10대 부품 개발과 주행차로 및 차간 거리 유지 서비스와 같은 5대 서비스 개발을 담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고속도로 사망률을 50% 줄이고 사회적 비용을 3890억원을 절감하는 것이 목표다. 또한, 2021년부터 2030년까지 누적 매출액 248조원, 수출액 118조원을 기대하고 있다.
이 사업과 별개로 국토부는 안전을 위한 자율주행 핵심 기술 개발에 나선다. 국토부는 소비자가 안심하고 자율주행차를 구매할 수 있도록 3대 핵심 안정성 연구부터 진행한다. 3대 안전성은 주행·고장 안전성, 통신보안안전성, 차량-운전자 제어권 전환 안전성 등이다. 이를 시작으로 안전과 관련된 핵심 기술 개발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또한, 법·제도가 마련되지 않아 자율주행차 상용화가 늦어지는 일이 없도록 관련부처와 민간전문가·업계가 참여하는 논의기구 `자율주행차 융복합 미래 포럼(가칭)` 발족도 추진한다.
대부분 자동차 선진국에서는 정부가 주도하는 프로젝트가 발족된 상태다. 미국은 정부가 나서 자율주행 시험장 M시티를 구축했으며 영국은 지난해부터 정부 주도 3개년 프로젝트 `UK 오토드라이브`를 시작했다. 일본은 지난 3월 경제산업성 주도로 토요타·닛산·혼다 등 완성차업체 6개사와 덴소 및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등 부품·전자업체 6개사가 함께 자율 주행 분야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로 발표했다. 해외에서도 정부가 공동 개발을 위해 나선 것은 생태계를 구축하고 인력을 양성하는 등 산업 전반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안전을 위한 강도 높은 연구가 필요하다”며 “스마트도로 같은 인프라 구축 사업뿐만 아니라 안전을 위한 자동차 기술 개발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보경 자동차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