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만에 예타 통과`...자율주행 정부 R&D 프로젝트 드디어 뜬다.

자동차 자율주행이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할 전제조건인 예비타당성조사를 3년 만에 통과했다. 자동차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자율주행자동차 기술 개발 지원에 세계 각국이 뛰어든 가운데, 우리 정부도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띄울 수 있게 됐다.

완성차 업체와 대형 부품업체들은 자체적으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진행해 왔으나 이번 국책 프로젝트를 통해 중견·중소기업과 학계에서도 관련 기술 개발 붐이 일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 등 인프라 측면에서도 큰 진전이 이뤄질 전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3년 기획된 범정부 차원 `자동차 전용도로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 사업`이 3년 만에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또한, 국토교통부가 자율주행 자동차 안전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관련 프로젝트 기획에 들어갔다. 국토부는 내달 마스터 플랜을 완성하고 내년부터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자율주행 핵심 기술 개발 사업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동안 추진되지 못한 사업이다. 2013년 기획된 후, 미래창조과학부의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으나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에는 후보에도 오르지 못했다. 사업 기획단은 지난해 초 다시 미래부 기술성 평가를 받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아왔다.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한 국책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등 시기적으로 시급한 과제로 평가를 받고 최근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합격점을 받았다. 이 사업은 미래창조과학부·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해 범부처 사업을 진행될 전망이다. 최종보고서는 나오기 전이어서 사업 규모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 사업은 자율주행 관련 23대 핵심 기술을 사용화하고 글로벌 100대 부품 기업 2개와 중견기업 10개, 대기업 7개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향후 7년간 진행되는 것으로 기획됐다. 이 사업은 레이더·영상 기반 주행상황 인지 모듈, 통신모듈, 고정밀 복합측위 모듈, 스마트 액추에이터 등 10대 부품 개발과 주행차로 및 차간 거리 유지 서비스와 같은 5대 서비스 개발을 담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고속도로 사망률을 50% 줄이고 사회적 비용을 3890억원을 절감하는 것이 목표다. 또한, 2021년부터 2030년까지 누적 매출액 248조원, 수출액 118조원을 기대하고 있다.

Photo Image
지난 3월 강호인 국토부 장관이 자율주행 임시운행 1호차로 허가받은 제네시스 자율주행차를 시승하고 있다

이 사업과 별개로 국토부는 안전을 위한 자율주행 핵심 기술 개발에 나선다. 국토부는 소비자가 안심하고 자율주행차를 구매할 수 있도록 3대 핵심 안정성 연구부터 진행한다. 3대 안전성은 주행·고장 안전성, 통신보안안전성, 차량-운전자 제어권 전환 안전성 등이다. 이를 시작으로 안전과 관련된 핵심 기술 개발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또한, 법·제도가 마련되지 않아 자율주행차 상용화가 늦어지는 일이 없도록 관련부처와 민간전문가·업계가 참여하는 논의기구 `자율주행차 융복합 미래 포럼(가칭)` 발족도 추진한다.

대부분 자동차 선진국에서는 정부가 주도하는 프로젝트가 발족된 상태다. 미국은 정부가 나서 자율주행 시험장 M시티를 구축했으며 영국은 지난해부터 정부 주도 3개년 프로젝트 `UK 오토드라이브`를 시작했다. 일본은 지난 3월 경제산업성 주도로 토요타·닛산·혼다 등 완성차업체 6개사와 덴소 및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등 부품·전자업체 6개사가 함께 자율 주행 분야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로 발표했다. 해외에서도 정부가 공동 개발을 위해 나선 것은 생태계를 구축하고 인력을 양성하는 등 산업 전반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안전을 위한 강도 높은 연구가 필요하다”며 “스마트도로 같은 인프라 구축 사업뿐만 아니라 안전을 위한 자동차 기술 개발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보경 자동차 전문기자 okm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