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 유래, "달빛에 한해 운을 부탁하는" 전통 행사

Photo Image
정월대보름 유래 출처:/ MBN 뉴스 캡쳐

정월대보름 유래

오늘(22일) 정월대보름을 맞이해 정월대보름의 유래가 누리꾼들의 관심을 사고 있다.

음력 정월 15일인 `정월대보름`은 `상원일(上元節)`이라고도 하여 중원일(中元節:7월 15일 百中), 하원일(下元節: 10월 15일)과 함께 `三元節`이라고 했다.

정월대보름은 대보름 달빛이 어둠, 질병, 재액을 밀어 내어 온 마을 사람들이 질병, 재앙으로부터 풀려나 농사가 잘 되고 고기가 잘 잡히길 기원하는 ‘동제’를 지내는데서 유래됐는데 설날이 가족 또는 집안의 명절인데 비해 정월대보름은 마을의 명절로 온동네 사람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행사로 자리잡아 왔다.

정월대보름에는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많은 세시풍속이 전해진다. 우리나라 전체 세시풍속의 20%가량이 대보름날을 맞아 치러질 정도다.

예로부터 정월 대보름에는 `상원절식`을 먹는데 오곡밥·약식·귀밝이술·부럼·복쌈·진채식 등이 있다. 정월대보름날 새벽에는 땅콩이나 잣, 호두, 밤 등 부럼을 자기 나이 수대로 깨물며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게 해달라고 기원한다.

또 일년 내내 기쁜 소식만 전해달라며 부녀자 애들 할 것 없이 귀밝이술(耳明酒)을 마신다.

전날 저녁에는 쌀, 팥, 콩, 조, 수수를 넣어 오곡밥을 지어 이웃과 나눠 먹고, 갖가지 나물들을 삶아서 기름에 볶아 먹기도 한다. 이런 `묵은 나물`을 진채라고 하며, 가을이 되면 호박고지·박고지·말린가지·말린버섯·고사리·고비·도라지·시래기·고구마순 등 적어도 9가지 나물들을 손질해서 겨울동안 잘 말렸다가 대보름 날 나물들을 삶아서 기름에 볶아 먹었다고 한다.

또 이 날은 세 집 이상의 남의 집 밥을 먹어야 그 해 운이 좋다고 하여 이웃간에 오곡밥을 나누어 먹는다.

배추잎이나 김, 혹은 참취나물 이파리를 넓게 펴서 쌈을 싸 먹는 복 쌈(복리:福裏)은 한 입 가득 복을 싸 먹으며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던 풍습에서 유래한 것이다.

한편 더위먹지 않고 여름을 무사히 보내기 위해 보름날 이른 아침 친구에게 찾아가 이름을 불러 대답하면 `내 더위 사가라`고 말하는데 이를 더위팔기라고 한다. 농사가 잘되고 마을이 평안하기를 기원하며 마을 사람들이 모여 `지신(地神)밟기`, `차전(車戰)놀이` 등을 벌이고, 한 해의 나쁜 액을 멀리 보내는 의미로 연줄을 끊어 하늘에 연을 날려 보낸다.

저녁에 대보름달이 솟아오르면 횃불을 땅에 꽂고 합장하여 저마다 소원을 빌고 논이나 밭의 두렁에 불을 질러 잡귀와 해충을 쫓는 `쥐불놀이`를 하거나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달집태우기`와 부녀자들만의 집단적 놀이인 `놋다리밟기`,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집 근처의 다리로 나와 다리를밟고 건넘으로써 한해의 액을 막고 복을 불러들인다고 믿어지던 `다리밟기` 놀이를 한다.


이윤지 lif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