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커넥티드·자율주행 기술을 통해 연비를 향상시키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커넥티드·자율주행 분야 기술은 미국 업체들이 각자 개발하고 있지만 정부가 연비를 개선해 배기가스를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바라보면서 정부 차원 프로젝트에도 시동이 걸렸다. 일본은 2020년 자율주행 시스템 시범사용을 위해 이미 2014년부터 국토교통성을 비롯한 내각이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선 상황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 기획된 프로젝트조차 예비타당성 조사 단계에 묶여 시작도 못한 상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 에너지부 산하 기관 ARPA-E(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Energy)가 커넥티드카와 자율주행차 에너지 효율화 기술에 관한 요구사항을 공개했다.
기업이나 컨소시엄이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R&D 프로젝트를 기획하면, 이 기관이 심사해 R&D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ARPA-E는 차량 에너지 절감이 고성능 센서나 V2X(차량통신) 커넥티비티 등과 파워트레인 제어 기술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고 판단하고 이 같은 사업을 시작했다. 요구 조건은 상용화 보급 예상 시점의 배기가스 규제 기준을 충족하는 것과 차량 성능, 유지 비용, 신뢰성 등이 현재 자동차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성신 비엠알컨설팅 대표는 “차량과 파워트레인 제어, 개별 차량과 파워트레인 작동, 커넥티비티 기반 제어 및 최적화를 통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기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며 “기본 목표는 커넥티비티와 자동화 진전으로 다른 차량과 협력으로 작동하는 개별 차량 제어 성능 향상에 의한 에너지 소비 절감”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미국은 주별로 자율주행 자동차 면허를 발급해 주는 등 정부차원에서는 R&D를 위한 인프라 조성과 규제 개선에 주안점을 뒀다. 자율주행 기술 자체는 포드나 GM 등 각 기업이 자체적으로 개발해 왔다. 이번에 새로운 국가 프로젝트를 띄운 것은 미국 정부 에너지 절감 목표 달성에 자율주행 기술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발굴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것도 목표 중 하나다.
국내에서도 자율주행 관련 기술이 자동차 안전성을 높이고 에너지효율을 끌어올리면서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라는 전망이 오래 전부터 제기됐다. 이에 따라 정부 주도의 프로젝트가 2013년부터 기획됐다. 이 사업은 레이더·영상 기반 주행상황 인지 모듈, 통신모듈 등 10대 부품 개발과 주행차로 및 차간 거리 유지 서비스와 같은 5대 서비스 개발을 담고 있다.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 기술성평가를 통과한 후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했으나 후보에도 오르지 못하고 탈락했다. 2015년 초 다시 미래부 기술성 평가를 다시 받아 예타 후보에 오른 후 아직도 심사 중이다. 정부가 이례 없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미국, 일본과 대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가 프로젝트는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에서 중소기업도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인력을 양성하는 차원에서 필수적”이라며 “하루 빨리 프로젝트가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커넥티트/자율주행차 연비향상 기술(자료:비엠알컨설팅, 그린카콩그레스)>
문보경 자동차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