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는 어려운 여건에서도 수용자 중심 서비스를 속속 선보였다. 주민과 밀접한 관계를 토대로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내놓았다. 풀뿌리 지역정보화가 가진 가장 큰 강점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6318_20151221133153_537_0001.jpg)
경상남도 양산시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사회적 약자 무료 위치관리 서비스를 제공했다.
양산시는 치매환자 70% 이상이 불안정 상태로 배회한 경험이 있다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했다. 관내에 구축된 CCTV와 연동해 위치정보를 추적했다. 대상자 위치를 파악하고 영상으로 대상자 여부를 확인했다. IoT, 공공와이파이, 버스정류소 통신망을 연계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했다.
치매환자뿐 아니라 장애인·아동 등 사회적 약자 안심 환경을 조성했다. 보호자는 스마트폰과 PC로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받는다.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경찰서, 관제센터의 즉각 대응이 가능하다.
충청남도는 세입과 세출 현황을 매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충남 재정정보 공개 시스템’은 세입·세출 현황을 일, 주, 월 단위로 제공한다.
최근 몇몇 지자체가 재정위기에 처하면서 주민 사이에 재정정보 관심이 높아졌다. 일부 공무원 횡령 사건으로 재정 투명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지자체 과제로 떠올랐다. 주민이 재정정보를 확인하려 해도 복잡한 행정절차가 가로막았다.
충남은 주민과 이해관계자가 매일 홈페이지에서 손쉽게 세입·세출을 확인하는 환경을 구축했다. 관련 자료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정보 공개 후 주민참여와 감시기능이 강화돼 부정행위가 차단됐다. 주민 재정 이해와 접근성이 개선됐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6318_20151221133153_537_0002.jpg)
서울시는 행정정보 자동공개 시스템으로 법령상 비공개사항을 제외한 모든 행정정보를 전면 공개했다. 행정정보가 생산되면 다음날 시민에게 자동 공개되는 수집·전송시스템이다. 담당 공무원 자의적 판단에 따른 비공개 가능성을 차단했다. 2년 사이 810만여 행정정보를 공개했다.
사용자는 홈페이지에서 원문파일을 제공받는다. 미리보기 기능으로 웹 화면에서 바로 내용을 확인한다. 서울시는 PC·스마트폰·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 최적화된 환경으로 편의성을 높였다.
시스템 구축으로 행정 투명성과 책임성이 강화됐다. 정보열람 이용편의성 개선으로 시민 알 권리가 보장했다. 정보열람 대기 시간이 줄고 절차가 간소화됐다. 사회적 비용이 절감됐다.
대전광역시는 과태료 통합 조회·납부시스템으로 시민 불편을 해소했다. 이용자는 버스전용차로와 주정차 위반 과태료 미납시 조회와 납부를 한 번에 처리한다. 장소·시간 제약에 따른 불편함이 사라졌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