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형센터가 막판까지 예산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다. 한국금형센터는 수도권 최초 공공 금형 시험생산(트라이아웃) 시설이다. 수도권은 영세 금형 기업이 밀집한 지역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1564_20151208183303_319_0001.jpg)
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등 한국금형센터 설립 주관·참여기관은 아직 민간 투자 건축비를 마련하지 못했다. 이 예산은 당초 대기업 등 민간 투자로 충당할 계획이었으나 차질을 빚었다. 총 사업비 528억원 중 35억원 건축비가 민자 예산이었지만 일부 대기업이 수억원가량을 출연했을 뿐이다.
경기도 부천시에 조성되는 한국금형센터는 수도권 최초 공공 금형 시험생산 시설이다. 개별 기업이 제작한 금형 시제품을 사출기에 넣고 직접 사출물을 뽑아볼 수 있다. 금형기업 대부분이 영세한 만큼 고가·대형 시험생산 장비는 공공 인프라로 구축한다는 취지다.
산업통상자원부 주도로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생산기술연구원 등이 지난해부터 추진했다. 국비 270억원, 지방비 223억원, 민자 35억원을 합해 총 528억원이 투입된다. 민자 예산 35억원은 전액 건축비로 사용된다.
문제는 산업부와 부천시가 국비와 지방비를 마련하지만 민자 예산 확보가 여의치 않다는 것이다. 이들 기관은 애초 이 돈을 대중소기업협력재단 기금에서 충당할 계획이었지만 부결됐다. 중소기업 직접 지원이 아닌 정부 사업 지원에 난색을 표했다.
당장 내년 2월이 건축공사 마무리 시점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올해 말이나 내년 초까지 대기업 출자를 받지 못하면 별도 자금 조달 대책을 세워야 한다. 2월까지 건축 공사를 마무리해야 장비 도입 일정을 맞출 수 있다.
기계산업진흥회가 대기업과 직접 출자를 협의 중이다. 금형 수요 기업이 완제품 제조사인 만큼 산업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는 게 진흥회 논리다. 자동차, 휴대폰 주요부품 90% 이상이 금형으로 제작된다. 금형 품질과 납기 개선이 수요산업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도권은 영세 금형기업 밀집 지역이어서 센터 역할이 절실하다. 2013년 기준 국내 금형기업 9496개 중 60.6%인 5756개 기업이 수도권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중 94.6% 기업이 20인 미만 영세 업체다. 대다수 기업에 자체 시험생산 설비가 없다.
한국금형센터에는 시험생산 설비는 물론이고 가공장비도 들어선다. 시험생산 결과 금형 개선이 필요하면 현장에서 검·교정이 가능한 셈이다. 시험생산과 기술개발, 인력 양성까지 일괄 지원한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기계산업진흥회 관계자는 “금형센터는 트라이아웃 기능으로 시험생산을 지원할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금형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류비도 아낄 수 있다”며 “민자 예산 확보는 관련 기업과 계속 협의 중이어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