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포럼]제품 잘 만들었는 데 왜 안 팔리지?

얼마 전 우연히 접한 오종우 성균관대 교수 책 내용 중 철학자 리처드 로티(1931~2007)가 표현한 ‘인류사회 속성이 신화의 시대-철학의 시대-종교의 시대-과학의 시대를 거쳐 이제는 예술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는 구절이 참 마음에 닿는다.

Photo Image

생산적 관점에서 표현된 원시시대-농경시대-산업시대-정보시대-지식시대를 거쳐 창의시대로 변하고 있다는 표현보다 느낌이 좋은 것 같다.

예술의 시대. 이게 뭘까. 주위에서 목격되는 것들 중, 제품을 참 잘 만들던 (특히 전자정밀 제품) 일본은 휴대폰시장에서 거의 제품은 보이지 않는다. 애플 아이폰을 본 사람들이 “우와!~ 이건 예술이다!” 하고 감탄하던 모습을 보았다.

대형·고급화된 우리나라 TV는 세계적 명품으로 자리 잡는 듯했는데 샤오미가 전혀 손색없는 TV를 3분의 1 가격으로 내놓자 불티나게 팔린다고 한다. 또 주위 많은 중견·중소기업이 아이디어 제품을 신규 출시했다는데 기대와는 다르게 잘 안 팔린다고 한다. 다들 어떻게 하면 홍보가 잘 될까. 하고 전전긍긍하는 모습을 자주 본다.

근데 식당도 요즘 장사가 안 된다고 난리인데 줄서야 하는 집은 불황이 없다. 내가 자주 가는 최고 맛집에서 지인들과 식사를 하면 대부분 엄지손가락을 치세우며 “야~ 이거 예술이다~”고 찬사를 내뱉는다.

프랑스 축구를 아트 사커라 치켜세우 듯, 사람들은 감동적인 그 어떤 것을 접할 때, 즉 경험하지 못한 기대 이상 서비스나 사물을 접할 때 예술이라는 찬사를 보내왔다. 아마 이는 예술 본질은 어떤 패턴에 결코 종속되지 않고 새로운 사고를 탄생케 하는 가장 능동적인 원동력인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경험과 기대를 뛰어넘는 작품을 칭하는 것인 듯싶다.

요즘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가 아닌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되지 않으면 다들 몰락할 것이라고 한다. 전적으로 동감한다. 그런데 퍼스트 무버는 아무나 할 수 없다는 게 슬픈 현실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 삶은 실질 세계와 여분 세계로 균형이 잡혀 있어야 창의적 사고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한국은 고성장 발전 기적을 이루었지만 현재 대부분 한국인은 성적이 인격이고 매출이 인격인 시대에 태어나고 자라고 배워왔기에 대부분 먹고사는 문제(실질 세계)에 함몰돼 있다. 즉 좌뇌가 비대하고 우뇌는 빈약한(여분 세계가 빈약) 편이다.

글로벌시대 점점 한국기업이 애플, 구글, 샤오미 등 놀라울 정도의 혁신성에 게임조차 힘든 이유는 이젠 더는 성실성, 근면함의 무기만으로는 게임 자체가 안 되기 때문이다. 이제는 이 무기가 딱 3년 버틸 수 있다고 한다. 지금부터라도 기업은 구성원 우뇌를 발달시킬 수 있는 시도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와 더불어 경영진과 직장인도 어떻게 하면 자사제품을 작품으로 만들 수 있을지 처절한 묘책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 학자 말씀 중, 전적으로 공감이 된 내용 하나를 소개한다.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기업의 큰 변화는 창조경제가 맞다. 기업경영의 철학적 해석이 바뀌고 일하는 문화와 방식이 바뀐다.

즉, 경영과학에서 경영예술로 승화되고 있고 그런 기업이 살아남게 된다. 제품을 잘 만들면 되던 시대에서 이젠 작품으로 만들어야 하는 시대로 변한 것이다.

김학훈 날리지큐브 대표이사 khhkhh@kcube.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