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절약과 순환이라는 큰 틀에서 제품 포장재 선택권은 생산자에게 있으므로 재활용이 용이한 재질 선택과 신기술 접목이 필요합니다. 재질·구조 개선에 성공한 기업에는 품목별 재활용분담금을 인하해 주는 등 인센티브를 늘려 참여를 유도해나갈 계획입니다.”
김진석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이사장은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사업 활성화를 위해 ‘당근책’을 적극 활용할 의지를 내비쳤다.
재활용 관점으로 보면 기업이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사업에 동참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기업 입장에선 제품 포장재가 갖고 있는 고유 이미지나 마케팅 효과를 무시하고 재활용만을 위해 포장재를 선뜻 바꾸기 곤란하다는 입장을 십분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이사장은 “아무리 좋은 제도도 수요자 수용성을 무시한 채 강제할 수는 없다”며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사업은 기업 입장에서 제품 디자인 변경, 신제품 출시 등 포장재 교체 수요가 생겼을 때 최대한 재활용이 쉬운 재질·구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향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제도를 적극 홍보하고 재활용분담금 인하 등 경제적 인센티브를 마련해 기업이 먼저 알고 포장재 교체 시기가 되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복안이다.
김 이사장은 “공제조합은 생산자 입장에서 재질 구조개선과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사업 등을 통해 도출된 결과물을 생산 현장에 접목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재활용과 회수 의무를 다한 기업에는 ‘그린마크’(가칭)를 부여해 브랜드와 제품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며 “재활용유통지원센터와 함께 포장재 회수·선별 재활용 기법과 체계를 향상시키는 노력을 기울이고 국내외 모범사례를 발굴 전파해 재활용 시장 외연도 넓혀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어느 정도 제도 참여가 이뤄지면 인센티브와 함께 ‘재활용 어려움’(3등급) 포장재를 사용한 제품에는 재활용분담금을 할증하는 패널티도 도입해 제도를 강제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것이 김 이사장의 구상이다.
그는 “포장재 재질·구조개선 제도는 재활용 비용을 절감하고 국가·제조업체·재활용사업자 간 시너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제도”라며 “앞으로 모든 기업이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에 관심을 갖고 동참해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재활용 대상 포장재가 주로 페트·유리병 등인데 여러 가지 재질별로 분리배출이 되지 않으면 재활용과 수거 비용이 많이 든다”며 “포장재 재질·구조개선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가정에서 조금 어렵더라도 재질별로 분류해 배출하면 재활용 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