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연 창업지원센터 ‘구글 캠퍼스 서울’이 지난 15일 광복절에 개소 100일을 맞았다. 대통령까지 방문해 격려한 이 공간에 창업 씨앗이 제대로 뿌려지고 있을까. 임정민 구글 캠퍼스 총괄은 “기대 이상의 열기”라고 말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8/714827_20150817154546_255_0001.jpg)
숫자로 보면 구글 캠퍼스 서울이 100일 동안 이룬 성과는 적지 않다. 62개국 7200여명 회원이 등록했고 1만4800명이 방문했다. 9개 벤처기업이 입주해 ‘내일의 구글’을 꿈꾼다.
등록회원 7200명 중 여성이 1920명으로 25%를 차지했다. 구글 캠퍼스 서울은 육아와 창업을 병행하는 이들을 위해 ‘엄마를 위한 캠퍼스’를 운영하는 등 창업가 범주를 넓히려 힘썼다.
SK플래닛에서 독립해 이 공간에 입주한 ‘개인화 뉴스서비스’ 업체 데이블 이채현 대표는 “구글 캠퍼스 서울에서 이웃 업체와 협력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등 시너지를 냈다”며 “국내를 넘어 글로벌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100일 이후 구글 캠퍼스 서울은 한국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자처할까. 임 총괄은 “글로벌, 특히 아시아 창업가의 허브가 되는 것”과 “여성 등 다양한 사람들의 창업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꼽았다.
이미 2010년 한 번의 창업(로켓오즈)을 경험한 그는 “5년 전보다 투자자와 창업가 매칭이 쉬워졌고 멘토링이 강화되는 등 환경이 크게 개선됐다”며 “해외에서 한국의 창업 생태계를 지켜보는 눈도 많아진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 창업 생태계 구심점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소프트뱅크스벤처스 시절부터 투자, 창업 생태계에 몸담아 온 임 총괄은 예비 창업가에게 “상품이 아닌 미션에 집중할 것”을 주문했다. 아이디어와 상품은 장기적으로 달성해야 할 목표의 도구라는 이야기다.
그는 “(단발성 아이디어에 집중하는 것은)젊은 창업자가 쉽게 하는 실수”라며 “창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루고자하는 목표를 가져야 계속 도전할 수 있는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100억원 이상 대형 기업인수합병(M&A)과 석사 이상 고학력자 창업 비율이 낮은 것은 정부와 사회가 신경 써야 할 부분이라고 짚었다.
국가적으로 통신, 디지털 콘텐츠, 보안 등 정보통신기술(ICT) 핵심기술을 가진 인재의 창업을 북돋워야 한다는 것이다.
임 총괄은 “실리콘밸리 인근 대학 석사과정 이수자 중 15% 정도가 창업에 도전한다”며 “국내 경제만으로는 한계가 있겠지만 (창업을 시작으로) 100억원 이상 대형 M&A가 쉽게 나오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스타트업 생태계가 자극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전에는 개념조차 없었던 프로게이머, 유튜브 스타가 각광받는 시대”라며 “청년들이 ‘성공’이란 키워드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정의했으면 한다”고 바람을 밝혔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