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눈에 띄는 정책은

Photo Image

정부가 국내 보안업체의 해외 진출 및 가속화를 돕는다. 한국은 강력한 인터넷 인프라를 갖춘 나라기도 하지만 각종 보안위협이 가장 먼저 발생하는 국가이기도 하다. 최근 북한이 사이버전 능력을 강화하면서 관련 공격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정부는 다양한 침해대응 경험 및 극복사례를 수출해 ‘정보보호 한류’를 만들겠다는 각오다.

한국형 정보보호 모델은 ‘보안컨설팅→시범·실증사업→공동진출’로 이어진다. 컨설팅 교육 분야는 정보보호 마스터 플랜 수립과 타당성조사, 정보보호 초청 연수 등을 포함한다. 시범 실증 사업은 침해사고대응센터(CERT), 보안관제센터(SOC), 공인인증센터(PKI) 구축 등이다. 이후 ODA와 연계 및 재외공관과 수요를 발굴한다. 진출 기업은 물론이고 다른 산업과 연계해 국산 정보보호 제품을 수출할 수 있는 공동사업을 발굴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사이버보안 해외 비즈니스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이의 일환으로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등 권역별 해외진출 전략을 마련한다.

Photo Image

베트남, 몽골 등 동남아 권역은 정보화 초기단계인 사전타당성조사(FS) 등 컨설팅 지원이 완료된 국가 공공발주 시장 진출을 노린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은 정부주도사업에 정보보호 솔루션과 제품 진출 기회가 있다. 이미 진출한 오만 거점을 활용한다.

중남미 시장은 페루와 니카라과 등이 전략 국가다. 정부와 국제기구 협력 관계를 활용해 시장 진출을 꾀한다. 우간다, 탄자니아 등 아프리카 시장은 르완다를 활용해 인접국 진출을 추진한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시장은 시장 특성을 고려해 거래처를 형성하고 절충교역을 추진한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