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高ㆍ3低에 빠진 연금저축 가입자, 합리적 조정 필요

[전자신문인터넷 이상원기자] 2高·3低 시대에 접어들면서 풍족한 노후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납입금액과 가입 기간 등을 관리 해야 한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1000명의 연금저축 가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2高·3低에 빠진 연금저축 가입자를 분석한 은퇴리포트 18호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연금저축 가입자들은 연금액에 대한 기대는 크고 가입한 상품대비 기대수익률은 높은 반면, 납입금액과 투자비중은 적고 가입기간은 짧은 함정에 빠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합리적인 연금액을 목표로 두고 연금저축 납입금액 · 가입기간 · 투자비중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경록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소장은 “연금저축에 대한 기대는 크나 행동은 미치지 못하는 2高 · 3低에 머물면 노후준비에 큰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장기적인 시야를 가지고 은퇴준비의 목적에 맞게 연금저축을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설문조사의 응답자들은 대부분은 평균 월 89만원의 연금을 원해 연금액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연금에 20년 이상 가입한 사람이 받는 평균 노령연금(87만원)과 같은 수준이다. 그러나 가입자들의 연금저축 운용실태를 고려한 예상 연금액은 월 48만원에 불과해 기대보다 41만원이나 적었다.

문제는 가입상품 대비 기대수익률이 높았다는 점이다. 연금저축 가입자들의 기대수익률은 보험이 4.38%, 신탁이 4.22%로, 과거수익률 3.31%, 3.70%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었다. 반면 연금저축펀드 가입자의 기대수익률은 5.06%로 과거수익률 7.05%보다 낮아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또한 납입금액이 적은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연령대별 납입금액은 20대(29만원), 30대(27만원), 40대(32만원), 50대(34만원) 등 이었다. 하지만 기대연금액은 20대(100만원), 30대(81만원), 40대(94만원), 50대(84만원)으로 조사됐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측은 현재의 납입금액을 60세까지 유지해도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은 연령대별 기대 수준의 23~85%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더욱이 가입기간도 짧았다. 연금저축 가입자의 평균 가입기간은 4.3년, 근로기간이 충분히 긴 40~50대의 가입기간도 5년 남짓이었다. 가입자의 기대연금액 89만원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월 31만원씩 35년간 납입해야 하는데 비해 가입기간은 짧은 셈이다.

마지막으로 투자 비중도 낮았다. 연금저축 가입자의 84%는 원리금보장형 상품인 보험이나 원금보전을 추구하는 신탁에 가입하고, 투자 상품인 펀드에 가입한 이들은 16%에 불과했다. 하지만 가입자들이 응답한 기대수익률을 토대로 상품을 재분류해 보면, 기대수익률이 5% 이상으로 연금저축펀드 투자가 필요한 가입자의 비율은 현재보다 31%p 더 높은 47%로 분석됐다.

설문조사 내용을 종합해보면 투자자들의 기대는 높지만 투자에는 소극적인 셈이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측은 ‘2高 · 3低’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서는 연금액을 합리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서는 세액공제 한도에 얽매이지 않고 납입금액을 정하고, 연말정산 환급금은 연금저축에 재투자해야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조기 가입과 투자 비중 조정을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익률을 꾀해야 한다.


이상원기자 slle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