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3/03/article_03134045517160.jpg)
- 셰일가스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경제성 분석을 통한 국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분석
- 셰일가스의 혁명에 대응하고 성공적인 사업전략 수립 위한 노하우와 기업체 투자전략 제시
최근 국제 원유의 수요감소와 공급과잉으로 인한 원유 가격하락으로 인해 향후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서의 셰일 가스 향방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기존의 오일과는 달리, 셰일층(유기물 암석층)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인 셰일 가스는 그 동안 판매해서 얻는 수익보다 추출하는 비용이 더 비싼 이유로 시추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수직시추, 수평시추, 수압파쇄법 등과 같은 시추 기술발달로 생산원가가 낮아지면서 향후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때에 한국셰일가스산업연구회는 오는 3월 2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룸 327호에서 기업실무자를 대상으로 ‘2015 해외 셰일가스 개발이 국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체 대응전략(SGAS_Con : www.info-con.org)”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세계 가스산업의 시장 주도권이 러시아 및 중동에서 미국으로 이동, 재편화되는 시점에서 국내 셰일가스 개발을 위한 정책방향과 미국과 중국의 셰일가스 개발이 국내 산업계 미치는 영향분석은 물론 기업체에서는 비즈니스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제시해주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는 글로벌 에너지 시장변화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 및 셰일가스 개발가치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셰일가스의 허와 실에 대한 분석으로 기업체와 투자자들에게 정확한 정보 전달을 목표로 오일 가격 폭락에 따른 셰일가스의 경제성분석과 오일, LPG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국내 산업의 변화와 기업의 대응방안 및 전략이 소개될 예정이다.
첫 강연으로 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강주명 교수를 필두로 정부의 셰일가스 산업 지원정책과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개할 계획이고, 셰일 에너지 투자전략과 관련해서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최재혁 펀드매너저가 셰일 에너지의 개발과 인프라 수요 예측 및 MLP(Master Limited Partnership)의 비즈니스 모델과 수익률에 대해 강연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 기업의 중국 셰일자원 개발과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한국가스공사의 신창훈 책임연구원이 중국정부의 셰일가스 지원정책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 강연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셰일가스가 에너지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LPG와의 상관관계라는 주제로 SK E&S의 조현 본부장이 강연하고, 셰일가스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조선, 해양산업과 화학산업, 화공EPC 산업, 조선 및 철강∙기계산업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에 걸쳐서 파급효과와 비즈니스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강연할 계획이다.
컨퍼런스 주제가 ‘해외 셰일가스 개발현황과 기업 대응 전략’에 맞춰진 만큼 이번 행사는 셰일가스의 개발 관련 기업과 학계, 그리고 연구계에서 전문가의 강연을 통해 에너지와 화학산업, 화공EPC 관련 기업과 조선∙해양플랜트 관련 기업, 금융기관 및 증권, 그리고 투자관련 파이낸싱 개발 담당자와 해외 자원개발 관련 기업 및 기관의 실무 담당자에게는 직무수행 역량강화와 기업 경쟁력 강화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한 문의 및 참가신청은 www.info-con.org 홈페이지를 클릭해서 참조하면 된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