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기피는 줄었지만 종사자 만족도는 낮아`

이공계 기피현상은 줄었지만 이공계 졸업생 및 이공계 종사자의 현실 만족도는 낮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0일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원장 정재훈)이 최근 실시한 ‘산업기술문화 확산을 위한 대국민 이해도 조사’ 결과, 자녀의 이공계 진학을 적극 지원한다는 응답은 29.5%로 나타났다. 2012년 조사결과(21.9%)보다는 약 8%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청소년 대상으로 희망전공을 묻는 설문에서도 이공계열을 선택한 비율이 29.9%로 가장 높았다. 인문사회계열은 22%, 경영경제계열 15%, 의·약학계열 8.2% 비중이었다.

반면에 자녀의 이공계 진학에 대해서는 이공계 졸업생의 11.6%가 ‘다른 분야를 권유하겠다’고 답해 의·약학계열 출신(4.7%)이나 상경계열 출신(3.6%)과 비교해 높게 나타났다.

자녀의 이공계 진학을 지지하지 않는 이유로는 ‘노력에 비해 경제·사회적 처우가 좋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66.2%로 가장 높았다.

진흥원 관계자는 “이공계로 진학했던 부모가 자녀의 이공계 진학을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막상 와 보니 생각한 것과 달랐기 때문”이라며 “이공계 분야 종사자의 처우개선, 자긍심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과거에 비해 청소년의 전공 선택 시기가 빨라졌으며, 체험형 프로그램이 전공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응답자 중 43.4%는 중학교 졸업 이전에 전공을 선택했다고 답했는데, 전공 결정에 영향을 준 결정적 요인으로 ‘직업체험, 실습 등 체험형 프로그램’(20.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인터넷 검색(16.7%), 대중매체(13.9%), 가족·친지(13.0%) 등이 뒤를 이었다.

정재훈 산업기술진흥원장은 “청소년의 전공 결정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며 “방과후 기술체험 교실인 ‘생활속 창의공작플라자’, 여학생을 위한 기술체험 행사 ‘K-Girls Day’ 등 현장 실습 프로그램으로 긍정적 산업기술 문화 확산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Photo Image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