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국가의 사이버 공격에 굴복한 나쁜 선례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이번 소니 사태를 보고받고 보인 첫 반응이다. 보수 야당인 공화당은 소니 해킹은 ‘전쟁’이라고까지 논평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412/640265_20141224144916_239_0003.jpg)
미국 사회는 지금 분노로 들끓고 있다. 미 본토에서 벌어진 9·11 테러로 자국민 2900여명이 목숨을 잃었을 때도 꿇지 않던 무릎을 컴퓨터 해킹 한번에 꺽고 말았다는 자조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번 사태를 2차 대전 당시 진주만 공습에 비유하는 외신도 있을 정도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20일(현지시각) 백악관 출입기자들과 가진 송년회견 자리에서 ‘비례적 대응’(proportional response)을 언급했다. 이?날 CNN과의 인터뷰에서는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다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혀 어떤 형태로든 보복이 있을 것이라는 뉘앙스를 남겼다.
북한 인터넷이 불통된 것은 그 다음날이었다. 특정 국가의 인터넷 통신 전면 마비는 초유의 사태다. 이날의 불통은 10시간만에 복구됐지만, 이후에도 북한 인터넷은 단절과 재접속을 반복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번 사태에 대해 백악관 국가안보위원회(NSC)는 ‘노코멘트’로 일관 중이다. 현재 북한의 인터넷 네트워크는 중국 관영 ‘차이나유니콤’의 망을 통해 해외로 연결된다. 따라서 미국이 국가차원에서 이번 보복을 단독 감행했다면,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워싱톤포스트 등 일부 외신에서는 소니 사태에 대한 미중 양국이 조사 공조를 약속한 상태라는 점을 감안, 중국의 묵인 하에 미국이 나섰을 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같은 보도에 대해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추측성 보도’라고 일축했다.
비례적 대응이란 말에서 유추할 수 있듯, 미국의 보복 역시 ‘사이버’ 형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미국은 지난 2009년 사이버사령부를 창설, 전군의 사이버 전력을 단일 지휘체계로 계통화했다. 의회도 사이버전 예산을 지난해 39억달러에서, 내년에는 51억달러(약 5조6000억원)로 늘려줄 예정이다.
따라서 북한과의 본격적인 사이버 전면전이 일어난다면, 미국의 타격 능력도 만만찮을 전망이다. 실제로 미국은 지난 2009년과 2010년 두 차례에 걸쳐 이란 나탄즈의 핵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가해, 이곳의 원심분리기 5000개 중 1000개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위력을 과시한 바 있다.
월스트리저널 등 주요 미국 외신들은 “미 정부의 개입 여부를 떠나, 지금 한반도는 60여년 만에 다시 또다른 형태의 전황에 휩싸여 있다”고 우려했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