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새해 스마트공장과 센서산업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R&D) 사업에 착수한다.
민간이 자율적으로 세부 개발방식을 결정하는 품목지정형 과제 등 산업기술 R&D 개선 방안도 본격 시행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총 3조1329억원 규모 2015년도 산업기술 R&D 통합 시행계획을 8일 공고한다. 새해 산업부 전체 R&D 예산 3조4660억원 가운데 일부 기반구축 사업 등을 제외한 75개 사업 지원 계획이다.
2015년 산업부 R&D 예산은 전년 대비 약 6.6% 증가했다. 그간 예산에 포함되지 않았던 기술료가 새해 ‘산업기술진흥 및 사업화촉진기금’으로 전환돼 약 874억원이 추가 반영되는 것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4%가량 증가한 규모다
새해 신규 R&D 사업은 스마트공장 고도화 기술 개발, 첨단센서 육성사업 등 총 22개 사업, 2463억원 규모다. 산업부는 산업 현장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빅데이터 응용, 맞춤형 생산 솔루션 등 고도화 기술 개발에 들어간다. 내년 50억원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250억원을 투입한다. 모바일기기와 자동차 등에 들어가는 핵심 센서를 개발하는 첨단센서 육성사업에도 내년 71억원을 지원한다.
지역 R&D 사업 중 기존 광역경제권사업은 경제협력권산업 육성사업으로 개편돼 1234억원 규모로 새롭게 시작된다.
가장 규모가 큰 사업은 신산업과 주력산업을 아우르는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으로 총 5167억원 규모로 전개된다. 올해에 비해 증액된 주요 사업은 △미래 산업선도기술 개발(129억원·31.6%) △소형 무장헬기 연계 민수헬기 핵심기술 개발(167억원·557%) △에너지 수요관리 핵심기술 개발(141억원·8.2%) 등이다.
산업부는 R&D 투자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품목지정형 과제를 본격 도입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춘 개념평가 등을 실시한다. 정부·민간 매칭비율을 과제 위험에 따라 차등화하고 무임승차를 방지할 수행 주체별로 정해진 비율만큼 정부출연금을 산정하고 민감부담금을 납부하도록 했다.
산업부는 오는 22일과 23일 서울과 대전에서 2015년 R&D 통합 시행계획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