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로봇은 올해 세계적 가전기업인 밀레와 손을 잡았다. 유진로봇은 로봇청소기 5만대를 제조업자개발생산(ODM) 방식으로 밀레에 공급하고 있다. 밀레는 유진로봇 주식 190만주(지분율 약 9%)를 매입해 75억원 정도를 투자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 로봇청소기 업계가 어려운 가운데 유진로봇은 3분기 흑자전환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412/633498_20141208170928_074_0001.jpg)
신경철 유진로봇 대표는 “내년에는 해외시장을 더욱 강화하고 국내에서도 고가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라며 “해외는 중국과 미국 시장에 역점을 두고 뛰어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신 대표는 일명 ‘로봇박사’로 불린다. 그는 서울대 기계설계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이후 미국 미시간대학교 대학원에서 기계공학 박사를 졸업한 뒤 삼성항공 정밀기계연구소에서 근무하다 나왔다. 2000년 유진로보틱스 대표로 취임하고, 2005년에는 지금의 ‘유진로봇’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회사는 로봇청소기와 완구를 두 축으로 구성돼 있다.
신 대표는 “내년 상반기에 국내에 성능을 업그레이드시킨 로봇청소기를 출시할 계획”이라며 “기능이 뛰어나지만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중국 시장에서는 아이로봇의 룸바와 경쟁이 될 수 있도록 키울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로봇청소기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는 내비게이션 주행 등 로봇청소기 성능평가 기준을 확정했다. 삼성전자는 흡입력을 대폭 놓인 고성능 로봇청소기를 출시했고, 다이슨도 고성능 제품을 공개했다. 새해에도 경쟁이 치열해 질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규모는 올해 소폭 줄었다. 지난해 15만대 시장에서 올해는 11만대 규모가 예상된다. 신 대표는 내년도에 시장이 다시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각 기업에서 뛰어난 제품을 속속 내놓아 올해보다는 30% 정도 성장해 2013년도 수준이 될 것으로 본다”며 “유진로봇은 내수가 1만대고 수출이 8만~9만대 수준이지만 내수에서도 성과를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유진로봇은 물류로봇도 신성장동력으로 키울 계획이다. 그는 “청소로봇뿐만 아니라 병원, 노양원 등에 들어가는 식사배달 로봇을 미국·유럽 업체들과 공동 개발하고 있다”며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한 물류이동로봇을 내년이나 내후년쯤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유진로봇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가 주관하는 제51회 무역의 날에 서비스로봇 기업 최초로 ‘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유진로봇은 지난 9월까지 총 1450만달러를 수출해 로봇청소기 국내 전체 수출액의 33.5%를 점유하면서 2014년 로봇청소기 수출 선두 기업으로 올라섰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