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일본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아베노믹스에 빨간불이 켜졌다.
일본 내각부는 지난 7~9월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 연율 환산으로 1.6% 감소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4월 단행한 소비세 인상 여파가 이어지며 2.2% 성장할 것이라는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일본 실질 GDP는 전 분기 대비 수출 1.3%, 수입 0.8% 증가했다. 일본 내 개인소비는 0.4% 증가하며 지난 2분기 5% 감소를 기록한 것과 달리 회복세를 보였지만 충분치 않다는 분석이다. 물가 상승 부담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일본의 지난 3분기 경제성장률이 감소하며 일본 정부가 준비 중이던 추가 소비세 인상에도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내년 10월 현 소비세율인 8%에서 10%까지 끌어올리려는 계획이었다.
아베 총리는 G20 정상 회의 참석차 방문한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린 동행 기자단 간담회에서 “국민의 이해와 협력 없이 정책은 진행되지 않는다”며 증세 연기는 중의원을 해산하고 총선에서 국민의 의견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닛케이신문과 스미토모미쓰이금융그룹(SMBC) 등은 경제성장률과 아베 총리의 발언에 바탕을 두고 내년 소비세 인상안이 연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문은 아베 총리가 18일 소비세 인상 보류를 결정하고 중의원 해산과 선거를 단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총선거는 다음달 14일로 예상했다.
마키노 준이치 SMBC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아베 총리가 의견을 수렴해 소비세 인상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해왔다고 밝히며 “3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보다 크게 부진하게 나옴에 따라 소비세 인상 연기를 촉구하는 압력은 더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세 인상이 연기되며 일본 재정 건전화 목표 달성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내년 소비세율 인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던 소비세수는 1조5000억엔가량이다. 아소 다로 일본 재무상은 소비세 인상이 미뤄지면 국제회의 등에서 거듭 표명해온 일본의 재정건전화 목표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을 내비친 바 있다.
김창욱기자 monocl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