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인류의 역사를 담고 있다. 연구 대상으로 쓰이고 후세에 남기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하지만 책은 종이로 만들어져 있는 탓에 그냥 놔두면 열화 현상이 발생하는 게 문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4/11/08/techholic_08113006596035.jpg)
미국 예일대학교에 있는 바이네케 도서관(Beinecke Rare Book and Manuscript Library)은 희귀본과 고서 등을 50만 권 소장하고 있다. 이 도서관은 지난 1963년 완공된 것으로 1912년 이탈리아에서 발견된 고문서나 암호로 보이는 알 수 없는 난수로 이뤄진 채색 삽화 등 다수를 소장하고 있다. 이들 문서는 전용 열람실을 따로 마련해 관리하고 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4/11/08/techholic_08113006638959.jpg)
이 도서관은 책을 보호하기 위해 빛에 제한을 둔다. 건물은 내부에 있는 희귀 도서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실내를 일정 밝기로 유지할 수 있는 설계를 한다. 희귀본은 도서관 중앙에 위치한 6층짜리 유리벽 안에 보관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도서관 직원 외에는 출입할 수 없다. 도서관은 학생과 교직원 외에도 객원 연구원에게 개방되어 있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4/11/08/techholic_08113006678869.jpg)
전자신문인터넷 테크홀릭팀
이석원기자 techholi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