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상권분석 서비스, 공공기관 너도 나도…효과 의문에 민간시장 잠식 우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기반 상권분석 제공 현황

산발적으로 추진되는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기반 상권분석 서비스가 기관 간 데이터 공유가 이뤄지지 않아 효과에 의문이 제기됐다. 유사한 사업을 기관별로 추진해 국가 예산만 낭비한다는 지적이다. 민간기업이 빅데이터 기반 상권분석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공공기관이 앞 다퉈 뛰어 들면서 시장을 잠식한다는 우려도 나왔다.

4일 공공기관에 따르면 중소기업청과 통계청, 한국정보화진흥원에 이어 서울시도 빅데이터 기반 상권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플랫폼 구축에 착수한다. 해당 공공기관은 대부분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에 카드·통신사의 민간 데이터를 구매해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한다. 정작 기관 간 데이터는 공유되지 않아 부분적인 빅데이터 분석만 이뤄진다.

◇서울시·중기청·통계청 등 상권분석 서비스

서울시는 빅데이터 기반 서울형 골목상권 분석서비스 구축 사업을 착수한다. 총 14억원을 투입해 9개월 동안 진행, 빅데이터 기반 서울형 골목상권분석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한다. 데이터 셋을 위해 상가·업소 데이터베이스(DB), 유동인구, 직장인구, 아파트DB 등을 구매한다. 시범 서비스를 위해 2개 자치구에 대해서는 부가가치통신사업자(VAN) 매출정보, 판매시점관리(POS) 매출정보도 구매한다. 고도화 사업과 유지보수 비용을 포함하면 투입 비용은 25억원을 넘어선다.

중소기업청·소상공인진흥공단도 비씨카드와 소상공인의 창업 지원을 위해 ‘점포 이력·평가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도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 점포의 개·폐업 이력, 창업 아이템을 분석해 매출추이와 입지상권 등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부동산 가격정보, 상가 인·허가 정보, 신용카드거래 데이터 약 7억4000만건을 활용한다.

통계청도 ‘SGIS오픈플랫폼 구축사업’으로 인구센세스 데이터에 대내외 데이터를 융합, 상권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공간정보 기반으로 이뤄지는 이 서비스는 인구통계 기본 데이터를 활용, 최적화 된 상권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도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 소상공인 창업 지원을 위한 상권분석 서비스 시범 사업을 진행했다.

◇민간기업 서비스 중인데 너도나도 진출

공공기관이 빅데이터 기반 상권분석 서비스를 앞 다퉈 추진하지만 효과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무엇보다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 중심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할 뿐 기관 간 데이터 공유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인·허가 데이터와 통계청의 인구선세스 데이터, 국세청의 폐업 및 매출 데이터 등이 모두 개별적으로 활용된다. 문서상이 아닌 실질적인 데이터를 다양하게 활용해야 최적화 된 상권분석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대부분의 서비스는 부분적인 셈이다.

유사한 서비스를 공공기관이 개별적으로 제공해 국가 예산만 낭비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나 기관은 민간 데이터를 구매해 활용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민간 데이터는 라이선스가 있기 때문에 다른 기관에서 사용했다 하더라도 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고 말했다.

SK텔레콤·나이스정보통신 등 민간기업이 앞서 상권분석 서비스를 사업화한 상태에서 공공기관이 시장을 잠식한다는 문제점도 지적됐다. 공공기관은 빅데이터 기반 상권분석 플랫폼만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민간기업 관계자는 “공공기관은 정부3.0 기조에 따라 민간이 사업화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며 “대부분 공공기관은 민간과 동일한 서비스 제공을 흉내내려 한다”고 지적했다. 공공기관이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융합,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만을 구축해 제공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기반 상권분석 서비스 제공현황 자료:기관 종합>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기반 상권분석 서비스 제공현황 자료:기관 종합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